국민 간식인 치킨 매출이 불경기에도 여전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킨 ‘헤...
국민 간식인 치킨 매출이 불경기에도 여전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킨 ‘헤비 유저’들은 연간 100만원에 가까이 치킨에 소비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7일 KB국민카드가 자사 신용 및 체크카드 회원의 치킨 소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치킨업종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5.2% 늘어났다. 이는 2019년 상반기와 비교했을 때 31% 급증한 수준이다. 치킨 소비 데이터에서 특히 매출액 상위 10% 회원은 최근 1년 간 94만원, 월 평균 약 8만원을 치킨에 소비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은 연간 34회, 월평균 약 3회 치킨을 주문했고 전체 치킨 결제금액의 41.5%, 이용건수의 36.9%를 차지했다. 배달 어플리케이션의 매출액 비중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상반기 배달 어플리케이션 매출액 비중은 13%에서 올 상반기 46%로 33%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배달앱 매출액 또한 379% 증가했다. KB국민카드 관계자는 “배달 어플리케이션의 성장이 치킨 소비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연령대별로는 20대부터 40대가 소비금액의 76.9%를 차지했고, 50대 16.2%, 60대 이상은 6.9%를 차지했다. 치킨을 소비하는 배달앱 비중이 높은 연령대는 30대로 전체 치킨 소비금액의 61.2%가 배달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했고, 20대는 54.4%, 40대는 47.3%, 50대 24.0%, 60대 이상은 9.5% 순으로 배달 어플리케이션 비중이 높았다.
치킨전문점 시간별 매출액 비중을 보면 매출액이 가장 높은 시간은 18~19시이고, 주중에는 19시 전후로 매출액이 높고 주말에는 18시 전후로 매출액이 높게 나타났다. KB국민카드는 “주중보다 주말에 치킨 소비가 1시간 더 빨리 일어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원로집단 간언 들은 시진핑...측근에게 '내 탓이냐' 분노 표출'나카자와 위원은 이 글에서 '수수께끼였던 올여름 베이다이허(北戴河) 회의의 분위기가 드러나고 있다'면서 '시 주석 취임 후 지난 10년(2012년~2022년)과 올해 분위기는 전혀 달랐다'고 덧붙였다. 나카자와 위원은 '원래 실력 있는 원로가 베이다이허 회의에 오지 않는 상황은 시 주석에게 유리한 상황이지만 그보다 더 복잡한 일이 올여름 일어났다'고 주장했다. 나카자와 위원은 '원로들의 '총의'를 모아 대표자 몇 명만 베이다이허 회의에 참석했는데 이들이 시 주석을 앞에 두고 '더 이상의 혼란은 곤란하다'고 다그치며 기존에 없던 강한 어조로 조언했다'고 주장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尹 인도네시아 동포 만나 '인니는 한-아세안 연대 핵심 파트너'남다른 경제 발전 잠재력으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며 '한-아세안 연대 구상의 핵심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이어 '50년 전 수교 당시 2억불에 미치지 못했던 양국 간 연간 교역액은 작년에 260억불을 기록했다'며 '수만 명의 인도네시아 학생들이 한국어를 배우고 있고, 또 연간 수십만명의 우리 국민이 인도네시아를 찾고 있다'고 양국 인연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 대한민국 정부가 글로벌 중추 국가를 지향하는 과정에 우리가 제일 먼저 챙겨야 할 분들이 바로 우리 해외 동포 여러분'이라며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에서 책임과 기여를 다하는 글로벌 중추 국가의 비전을 실현해 나가는 데 여러분들도 힘을 모아주시기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쉿! 유출 안돼' 삼성, 반도체 개발에 '네이버 AI' 쓴다 | 팩플KB금융 등 국내 다른 대기업들이 생산성 향상을 위해 네이버의 B2B(기업 간 거래) 생성 AI 서비스 도입을 검토 중인 가운데 삼성전자의 행보가 기업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LLM에 최적화된 AI 반도체의 시장 수요가 큰 만큼, DS부문은 삼성리서치가 개발 중인 자체 생성 AI보다 국산 LLM 중 가장 앞서 있는 하이퍼클로바X를 활용하는 게 효율적이라고 판단했다고 한다. 지난달 24일 네이버의 생성 AI 발표 현장에서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컨테이너 한 상자 크기의 AI 클라우드를 기업 내부에 둔다'며 '기업 내부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하면서 AI를 학습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이 전하는 세상의 지식 (매-세-지, 9월 7일)1. 기아가 태국에 연간 25만대 규모를 생산하는 완성차 공장 건설을 추진함. 중국 사업이 부진한 가운데, 인도에 이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시장을 적극 공략해 글로벌 생산기지를 다변화하기 위한 현대차그룹의 전략이라는 해석이 나옴. 태국은 도요타를 비롯한 일본차들이 강세를 보이는 시장이어서 기아가 현지 공장을 본격 가동할 경우 한일 양국 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좋은 일 좀 하세요”…26조원 벌고 사회기부는 0.007% 그친 한은한국은행이 사회기부에 인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이 한은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은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총 26조300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고, 이 기간 사회기부액은 총 19억7000만원으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 한은의 연간 사회기부액은 적게는 3억원, 많게는 5억6000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북TP, ‘배터리 코리아 2023’서 이차전지 세계시장 진출전략 제시경상북도와 포항시, (재)경북테크노파크(이하 ‘경북TP’)는 지난 9월 1일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개최한 ’Battery Korea 2023(2023년 배터리 코리아 컨퍼런스)‘에 참가하여 경북 이차전지 특화단지의 세계시장 진출전략을 발표하고, 홍보부스를 운영했다. 이 날 오전 기조강연에서 경북TP 이차전지종합관리센터 이영주 센터장은 ’K-배터리 세계시장 진출전략 : 경북 포항 양극재산업 특화단지‘ 라는 주제로 현재 세계 이차전지 시장 현황을 소개하며 포항시의 이차전지 특화단지 세계진출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였다. 이차전지 특화단지는 포항시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이하 ’국가산단‘) 및 영일만 일반산업단지(이하 ’일반산단‘)를 중심으로, 2030년에는 전 세계 양극재 연간 수요량 605만 톤의 16.5%를 차지하는 100만 톤을 생산하고 매출 70조 달성을 통해 이차전지 원료·소재 분야의 세계 최대 생산기지 구축을 목표로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