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로 인해 증가하는 치매 환자들을 위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위한 국내 연구진의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 국내 연구진이 치매의 대표 병변 '독성 아밀로이드 베타'의 기전을 최초로 규명하여 산발성 알츠하이머 치매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접근법을 제시했다. EBP1 단백질 발현 유지를 통해 독성 아밀로이드 베타 축적을 억제하고 인지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확인했다.
이런 가운데 치매의 대표 병변인 ' 독성 아밀로이드 베타 '를 제어할 수 있는 분자적 기전을 국내 연구진이 최초로 규명함으로써 유전적 변이 없이 노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산발성 알츠하이머 성 치매의 새로운 치료 접근법을 제시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3일"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안지인 교수 연구팀이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관련된 단백질인 독성 아밀로이드 베타와 EBP1 단백질 발현 변화에 따른 발병기전을 규명했다"면서"실제 환자와의 치매 유사도를 높인 동물모델을 제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보산진에 따르면, 전 세계 치매환자는 약 5500만 명으로, 최근 국내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제가 승인되어 실제 환자에게 적용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뇌 속에 쌓여 신경세포를 죽이는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생성을 제어하는 약물은 미비한 실정이라고 한다. 더 나아가 알츠하이머 마우스 모델에 EBP1을 과발현 시켜 기능을 복원했을 때, 아밀로이드 베타 축적물이 감소되고 학습과 기억능력 향상의 놀라운 효과를 보였다고 한다. 즉,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치료적 효용성을 가진 신규 단백질을 발견했다는 의의를 확인한 것이란 설명이다.
치매 알츠하이머 독성 아밀로이드 베타 EBP1 동물모델 치료법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EBP1 단백질, 산발성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 가능성 제시국내 연구진이 치매의 대표 병변인 '독성 아밀로이드 베타'를 제어하는 분자적 기전을 규명, EBP1 단백질의 발현 유지가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입증하여 산발성 알츠하이머 치매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접근법을 제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금연 치료, 뇌 신경 구조 활용으로 새로운 가능성 제시국내 연구진이 뇌 속 신경 구조에서 담배 금단증상을 극복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아냈다. 이는 니코틴 금단증상 완화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발견이며, 특히 파킨슨병 치료제로 사용되는 프로싸이클리딘이 니코틴 금단 치료제로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체 내 미세플라스틱, 비강 점막에서 처음 검출국내 연구진, 사람 콧속 점막 조직에서 미세플라스틱 390조각 검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앙대병원·생명연구원, 사람 콧속 미세플라스틱 존재 규명국내 연구진, 세계 최초로 콧속 미세플라스틱 검출...인체 영향 후속연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LF, 올해의 패션 트렌드 키워드로 ‘스레드’ 선정다양한 트렌드·개성 연결…새로운 패션 맥락 제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신생아 횡격막에 생긴 ‘구멍’··· 새 치료전략 적용하니 생존율 향상신생아 희귀질환인 ‘선천성 횡격막 탈장’ 환아에게 새로운 치료 지침을 적용하자 생존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에크모 치료로 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