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엘(DL)이앤씨(옛 대림산업)는 전남 구례군 산동면에 국내 최초의 ‘모듈러 단독주택 타운형 단지’를 준공했다고 6일 밝혔다....
디엘이앤씨는 전남 구례군 산동면에 국내 최초의 ‘모듈러 단독주택 타운형 단지’를 준공했다고 6일 밝혔다. 모듈러 공법이 적용된 기숙사와 공동주택은 준공된 적이 있으나 단독주택 단지 완공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에 준공된 주택 단지는 연면적 2347.63㎡ 터에 26가구 규모로 지어졌다. 각 단독주택은 다락방을 포함한 지상 1층짜리로, 전용면적은 74㎡다. 한국토지주택공사의 시행으로 귀농·귀촌형 공공임대주택 사업으로 추진된 이번 단지는 지난해 6월 착공에 들어가 최근 준공 후 입주를 시작했다. 디엘이앤씨는 이번 단지에 총 11개의 철골 모듈러 유닛을 조합해 하나의 주택을 만드는 설계 방식을 적용했다. 유닛을 효율적으로 결합해 방 3개, 화장실 2개, 주방, 거실, 다락, 세탁실, 베란다 등을 구성하면서 단독주택의 넓은 평면을 살렸다. 이와 함께 유닛 조합 설계, 무용접 커넥터, 무하지 외장 접합 시스템 등 자체 특허 기술을 대거 적용해 생산성을 일반 주택 대비 125% 개선하기도 했다.
디엘이앤씨는 이번 준공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모듈러 주택 사업을 지속해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고객이 레고 놀이처럼 표준 모듈러 유닛을 골라 원하는 평면을 만들 수 있는 ‘멀티 커넥션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기존의 모듈러 유닛을 신속하게 해체해 새로운 장소로 이동해 재설치·재활용할수 있는 ‘기초-유닛 해체 기술’도 개발 중이다. 모듈러 주택은 공장에서 사전 생산한 건축물의 각 유닛을 현장으로 옮겨 조립하는 방식으로 지어진다. 현장 작업이 최소화돼 공기 단축, 품질 균일화 등이 가능하고 탄소 발생량과 폐기물, 분진, 소음 등이 적은 친환경 공법으로 꼽힌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DL이앤씨, 국내 최초 ‘모듈러 단독주택’ 타운형 단지 준공DL이앤씨가 전남 구례군 산동면에 국내 최초의 ‘모듈러 단독주택 타운형 단지’를 준공했다고 6일 밝혔다. 구례 모듈러 주택단지는 국내 최초로 총 11개의 철골 모듈러 유닛을 조합해 하나의 주택을 만드는 방식으로 설계했다. DL이앤씨 관계자는 '모듈러 주택은 기존 주택 대비 생산성과 시공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친환경 시공으로 시장의 급성장이 예상된다'며 'DL이앤씨는 차별화된 모듈러 기술을 통해 주택시장을 선도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K-버섯 영국 시장 키운다'...현대코퍼레이션, 제2 버섯공장 준공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가 지난 2일(현지시간) 영국 랭커셔주에서 버섯 재배 제2공장 준공식을 열었다고 5일 밝혔다. 이 회사는 앞서 지난 2018년 국내 농업회사 그린합명과 합작해 랭커셔주에 버섯 재배 공장을 세우고 현지법인 ‘스미시 머시룸 홀딩스’를 설립해 영국에서 버섯 사업을 시작했다. 정몽혁 회장은 준공식에 참여해 '영국 시장에서의 성공 경험을 토대로 버섯 사업의 북미 진출을 앞두고 있다'며 '끊임없이 밸류 체인을 넓히고 신사업을 발굴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막바지 접어든 올 분양시장 …전국 4만4천가구 쏟아진다미분양 감소세에 막판 분양 쇄도추첨제 확대·전매 완화도 한몫경기 1만6627·인천 5326가구 順서울 송파·성동·마포 단지 주목왕길역 로얄파크시티 푸르지오1500가구 모두 일반분양해 눈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용인 에버랜드역 칸타빌 3일 오픈... 분양 돌입단지 앞 전대·에버랜드역 초역세권 입지 확보...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반세권 입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향은의 트렌드터치] 호모 프롬프트디지털 네이티브를 넘어 AI 네이티브의 시대, 서칭을 대신 맡기는 것을 넘어 리서치와 분석, 나아가 생각을 대신 맡기는 ‘친AI족’인 이들을 일컫는 신조어 ‘호모 프롬프트’는 생성형 AI의 등장 이후 AI와의 조화로운 상호작용을 통해 인공지능 시대를 선도할 수 있는 인간형에 대한 이야기다. 하루가 멀다고 생성형 인공지능 관련한 기술과 서비스가 선보이는 이 시점에서 단지 기술의 변화를 좇는 것이 아니라 이 거대한 진보의 메가 트렌드 속에서 우리 ‘인간’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바로 인간의 고유 역량에 방점을 찍어야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