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의대생 유급 기준 완화…1학기 미이수 과목 2학기 추가 개설

대한민국 뉴스 뉴스

교육부, 의대생 유급 기준 완화…1학기 미이수 과목 2학기 추가 개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59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7%
  • Publisher: 53%

의대 증원에 반대한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가 4개월 동안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의대 유급 기준을 완화하고 추가 학기제를 도입하는 등 학사운영을 유연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제라도 학교로 돌아온다면 유급 불안 없이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게 지원하겠다며 의대생들의 복

귀를 유도하고 나선 것인데, 회의적인 반응이 많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4일 정부서울청사 대회의실에서 ‘의대교육 정상화 관련 긴급 브리핑’을 열고 “기존의 학사운영 틀에 얽매이지 않고 학생들이 원활히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대학과 협의해 조속히 ‘비상학사운영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가 마련 중인 ‘비상학사운영 가이드라인’에는 △1학기 미이수 과목을 2학기에 들을 수 있도록 추가 개설 △재이수 기회 제공 △학기 말에 유급 여부를 확정하는 대신 학년 말까지 수업 결손을 보충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유연화 등의 방안이 담길 예정이다. 이와 함께 수업 기간을 확보하기 위해 추가 학기를 개설하고, 학년 간 교육과정의 일부를 개편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현재 대부분의 의대에서는 수업 일수의 3분의1 혹은 4분의1 이상을 결석하면 낙제점을 부여하고 한 과목에서라도 낙제점을 받으면 유급되는데 이 조건을 대폭 완화하는 것이다.

교육부는 의대 교육 환경을 개선하겠다고도 강조했다. 2025∼2027년까지 국립대 전임교원 1천명을 증원한다는 계획에 더해 2028년까지 연간 4천명을 교육시킬 수 있는 임상교육훈련센터를 모든 국립대병원에 설치하기로 했다. 또 사립대를 포함한 모든 의대들이 학교별 강점과 지역 여건, 학생 수요 등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혁신할 수 있도록 행·재정 지원을 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학교로 복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의대생들을 지원하기 위해 의대 보유 대학에 ‘의대생 복귀상담센터’를 신설한다.하지만 교육부는 의대생들의 집단유급 사태가 현실화될 때에 대비한 별도의 대책을 마련하지는 않았다. 심민철 교육부 인재정책기획관은 “현재로서는 ‘플랜B’를 고민할 때는 아니”라며 “ 복귀와 관련된 방안을 만드는 데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학사운영 유연화와 의대 교육환경 개선 등의 대책이 의대생들의 복귀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에 대해선 물음표가 찍힌다. 한 비수도권 의대 학장은 “학사운영을 유연화하면 형식적으로는 학생들을 진급시킬 순 있겠지만 실질적으로 의학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기는 힘들다”며 “대부분의 학생들은 수업을 제대로 듣지 않고 다음 학년으로 넘어가기 보다는 차라리 새로 시작하길 원한다”고 말했다. 한 비수도권 지역 의대생은 “전공의들이 복귀하지 않고 있는 만큼 의대생들도 다같이 따라가자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교육부, 내년 2월까지 의대생 유급 안시킨다···복귀 가능성 여전히 낮아교육부, 내년 2월까지 의대생 유급 안시킨다···복귀 가능성 여전히 낮아교육부가 동맹휴학 중인 의대생들의 유급을 방지할 수 있는 ‘한시적 특례 조치’ 등을 담은 의대 학사 탄력운영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의대생들이 올해 안에 돌아오지 않으면 20...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복귀 감사” 조롱까지…전공의·의대생 ‘신상공개’ 확산“복귀 감사” 조롱까지…전공의·의대생 ‘신상공개’ 확산의대 수업이나 의료 현장에 복귀한 의대생·전공의의 신상을 텔레그램에 공개하는 이른바 ‘블랙리스트’가 확산하면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교육부가 수업 거부 중인 의대생들의 유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수업 거부' 의대생, 내년 2월까지 유급 안 시킨다'수업 거부' 의대생, 내년 2월까지 유급 안 시킨다의대 증원에 방발해 5개월째 수업을 거부하고 있는 의대생들의 집단 유급을 막고 복귀를 독려하기 위해 정부가 대안을 발표했다. 〈사진=연합뉴스〉의대 증원에 반발해 5개월째 수업을 거부하고 있는 의대생들의 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특혜 아닌, 의료체계 안정 조치”…의대생 유급 내년 2월까지 연기한다는데“특혜 아닌, 의료체계 안정 조치”…의대생 유급 내년 2월까지 연기한다는데학기제→학년제로 전환 허용 교육부 “특혜 아닌 공익 목적” 의대교수들 “진료 경력만으로 교수채용 허용하는 법안 철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년 보장된 줄 알았는데”…퇴직 당겨질까 전전긍긍, 교사들 술렁이는 이유는“정년 보장된 줄 알았는데”…퇴직 당겨질까 전전긍긍, 교사들 술렁이는 이유는2028 수능 탐구 선택 사라져 내신 유리한 과목 쏠림 우려 출제 포함 안된 역사·물리 등 학생에 외면받을 가능성 커져 고교학점제로 부담까지 가중 “일부 교사들 전출 가거나 전공 아닌 과목 가르칠수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시 추가 실시’ 정부 유인책에도…의대생 95.5% ‘복귀 거부’‘국시 추가 실시’ 정부 유인책에도…의대생 95.5% ‘복귀 거부’의대증원에 반대하는 의대생들의 집단행동이 끝날 기미를 보이지 않는 가운데, 26일로 의사 국가시험(국시) 접수가 마감되지만 의대생들의 응시율은 미미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의대생들의 복귀를 전제로 국시 추가 실시를 검토한다는 입장이나 의대생들이 호응할지는 미지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3 01:3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