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급유기 꼬리날개 없앤다…미 공군 무기 '스텔스' 진화 속셈 | 중앙일보

대한민국 뉴스 뉴스

공중급유기 꼬리날개 없앤다…미 공군 무기 '스텔스' 진화 속셈 | 중앙일보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55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5%
  • Publisher: 53%

미국의 보잉이 지난 1월 새로운 항공기 모형을 공개했습니다. \r미국 공군 스텔스 무기 이철재의밀담

미국의 보잉은 지난 1월 23일 미국항공우주연구소 과학기술 포럼ㆍ전시회에서 새로운 항공기 모형을 공개했다. 아주 색다른 모습이었다. 동체와 날개가 일체형이며 수직 꼬리날개는 없었다. 대표적인 BWB 항공기론 미국 공군의 스텔스 전략폭격기인 B-2 스피릿이 꼽힌다. 보잉은 BWB 수송기 모형이라고 설명했다.실마리는 같은 달 11일 미국외교협회의 온라인 대담에서 한 프랭크 캔들 미국 공군장관의 발언에서 찾을 수 있다. 중국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차세대 공중급유기 사업에서 BWB를 고려하겠냐는 질문을 받은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그런데 미국 공군은 이 같은 이점을 포기하고 공중급유기와 수송기를 새롭게 만들어야만 하는 이유가 있다. 바로 중국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중국의 PL-15 야 오오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이란 위협이다. 물론 미 공군은 일찍부터 BWB 공중급유기ㆍ수송기에 관심을 가져왔다. BWB 설계를 채택하면 10% 정도 연비가 높아지면서 소음도 줄이는 효과를 볼 수 있어서다. 그래서 지난해 10월 저탄소 친환경 대책으로 2027년까지 BWB 공중급유기ㆍ수송기를 개발하겠다고 발표했다.무기체계라면 반드시 갖춰야 하는 스텔스 미 공군의 사례는 스텔스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돼가는 추세를 보여준다. 지금까지 스텔스는 군용 항공기에서, 특히 전투기나 폭격기에서만 찾을 수 있는 기능이었다. 이젠 전 무기체계에서 반드시 갖춰야 하는 기능으로 진화하고 있다.냉전이 끝난 뒤 강대국과 테러 단체간 테러와의 전쟁이 주류였지만, 미국ㆍ서방권과 중국ㆍ러시아ㆍ권위주의 국가간 신냉전이 심각해지면서 군사 강대국끼리 제한전 가능성도 덩달아 커졌다.

영국의 방산기업인 BAE가 개발한 ADAPTIV는 얇고 가벼운 위장막이다. 위장막은 육각형 모양의 작은 화면들로 짜였다. 이를 전차나 장갑차에 입히면 주변 환경을 그대로 위장막에 뿌린다. 투명 망토와 같은 개념이다. 그리고 이 위장막을 데우거나 식혀 주변 환경과 비슷한 온도로 만든다.에이브럼스 X는 하이브리드 엔진으로 움직여 조용히 적에게 다가갈수 있다. GDLS 현재 각국이 주력으로 삼고 있는 대함 미사일은 상당수가 적외선 감지 시커로 조준한다. 미사일이 적 수상함의 열을 쫓아간다는 뜻이다. 그래서 수상함의 생존성은 열차단에도 달려있다. 최근 수상함은 배기 가스를 차가운 공기와 섞어 내보내고, 열기관의 통풍을 강화하면서 단열재를 더하거나, 바닷물로 강제냉각하는 방식을 쓴다.

패시브 소나는 적의 소리를 듣는다. 그리고 가장 큰 소음은 프로펠러에서 난다. 프로펠러가 돌면 주위에 공기방울이 생긴다. 이 공기방울이 터지면서 소리가 난다. 그래서 프로펠러의 날개 수, 모양, 재질을 바꾸면서 소리를 줄이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펌프제트와 같이 프로펠러가 아닌 새로운 추진 방식도 연구 중이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우리집 영상도 유출될라”…워킹맘도 필수템 ‘홈캠’ 없앤다“우리집 영상도 유출될라”…워킹맘도 필수템 ‘홈캠’ 없앤다민감한 신체 부위가 노출될 수 있는 성형외과 병원 진료실 카메라 영상이 유출되면서 “카메라에서 안전한 곳이 없다”며 ‘렌즈 포비아’(렌즈 공포증)를 호소하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 자세히 알아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광주 운암산 산불 진화 야간작업 돌입…주민 대피령 검토 | 연합뉴스광주 운암산 산불 진화 야간작업 돌입…주민 대피령 검토 | 연합뉴스(광주=연합뉴스) 정회성 천정인 기자=광주 북구 아파트단지 밀집 지역인 운암산 주변에서 발생한 산불이 일몰 시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하동 산불로 진화대원 1명 사망…밤샘 진화하동 산불로 진화대원 1명 사망…밤샘 진화어제 오후 경남 하동 지리산 국립공원에서 불이 나, 밤새 진화작업이 이어졌습니다. 지형이 워낙 험한 곳이라 진화에 애를 먹었는데, 이 과정에서 진화대원 한 명이 의식을 잃고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숨졌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6 19:3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