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절반은 '기회 되면 이직'…1년새 12%P '껑충'
김윤구 기자=박봉 등을 이유로 공무원의 인기가 시들해진 가운데 이직 의사가 있는 공무원이 급격히 늘어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행정연구원의 2022년 공직생활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공무원 6천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나는 기회가 된다면 이직할 의향이 있다' 문항에 '그렇다'라고 답한 중앙부처 및 광역자치단체 공무원은 45.2%였다.이직 의사가 있다는 공무원은 2017년 28.0%, 2018년 28.1%에서 2019년 30.1%를 기록해 30%대로 올라섰고 2020년 31.1%, 2021년 33.5% 등 매년 증가하는 추세였다.한국행정연구원 국정데이터조사센터는 오는 27일 국회에서 열리는 기획세미나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공직생활실태조사 주요 결과를 발표한다.
발제를 맡은 센터의 왕영민 초청연구위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직 의향이 있는 공무원이 급격히 늘어난 데 대해"작년 공무원 연금 개편 논란이 결정적이지 않았나 싶다"면서"하는 일에 비해 박봉이라는 인식에다 민원은 늘고 공무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계속 떨어지는 것 같아 이런 결과가 나온 것 같다"고 추정했다.실제로 2017년 이후 20∼30대 공무원 퇴직자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40대 공무원 퇴직자 수도 2019년 이후 급증했다.공무원연금공단 통계에 따르면 공무원의 일반퇴직은 2017년 9천167명에서 2021년 1만5천720명으로 71.5% 증가했다. 2021년 기준 의원면직 퇴직자 중 30대 공무원이 35.5%로 최다이며 20대의 비중도 19.8%로 증가하는 추세다.'나는 공무원 신분으로 근무하는 것에 대해 만족한다'는 문항에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10명 중 4명꼴에 그쳤다.
이어"공직의 난이도는 높아지고 사회적 지위는 낮아졌다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면서"가장 큰 메리트였던 공무원 연금체계의 개편은 공무원 사기 저하의 한 요인으로 지목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보수 체계의 현실화'를 강조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은폐하지도, 할 수도 없었다” vs “사람이 먼저라더니”···‘서해 피격’ 법정 공방서훈 전 국가안보실장을 비롯한 문재인 정부 안보라인 고위 인사들이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첫 공판에서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위클리 건강] 'E형간염 주의하세요…식품공장서 12명 동시다발 감염도'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급성 감염증을 일으키는 'E형 간염'이 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더욱이 최근에는 국내 한 식품 제조공장의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우크라 지상군 사령관 '러 지쳤다…조만간 기회 잡을 것'23일 AFP,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올렉산드르 시르스키 우크라이나 지상군 사령관은 이날 텔레그램에서 '침략자는 인력과 장비 손실에도 불구하고 바흐무트 점령 희망을 포기하지 않고 있다'며 '그들은 아무것도 남기지 않은 채 상당한 힘을 잃고 완전히 지쳐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해 사건’ 첫 공판…문 정부 안보라인 “은폐 없었고 할 수도 없어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 등 문재인 정부 안보라인 인사들이 첫 공판에서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을 은폐하지 않았다며 혐의를 전면 부인했습니다. 🔽 자세히 읽어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