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선포한 비상계엄 기간 동안 계엄군이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 무장한 채 출동했고, 특수전사령부 예하 부대가 가장 많은 양의 실탄을 준비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 을 선포한 가운데 지난달 4일 새벽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에 무장한 계엄군 이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연합뉴스4일 장경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법무부로부터 제출받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공소장을 보면 비상계엄 에 동원된 군부대들은 막대한 양의 실탄을 준비해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 출동했다. 가장 많은 실탄을 동원한 것은 특수전사령부 예하 부대였다. 제1공수특전여단장은 지휘차량에 소총용 5.56㎜ 실탄 550발, 권총용 9㎜ 실탄 12발을 적재했다. 이와 별도로 예하 1대대 몫의 소총용 실탄 2만3520발, 2대 몫의 실탄 2만6880발을 탄약수송차량에 적재했다. 특수전사령부 예하 707특수임무단 역시 소총용 실탄 960발, 권총용 실탄 960발을 준비해 국회로 출동했다. 제3공수특전여단 제11대대장은 개인 소총과 공포탄 10발을 휴대해 선관위 과천청사로 출동할 것은 지시했다. 다만 실탄은 대대장 지휘 차량에 박스째 봉인해 보관했다.
제9공수특전여단은 선관위 관악청사로 118명을 개인화기 등으로 무장시켜 출발시킨 뒤 후발대 병력 22명에게 공포탄과 실탄, 연막탄 등 탄약을 2.5톤 트럭에 싣고 따르도록 했다. 다만 제9공수특전여단이 지참한 구체적인 실탄 수량은 공소장에 나오지 않았다.수방사 역시 계엄 때 실탄을 소지했다. 제35특수임무대대 선발대는 지난달 3일 밤 11시10분께 소총 15정, 권총 15정, 저격소총 1정 및 5.56㎜ 보통탄 1920발, 9㎜ 보통탄 540발 등을 중형버스 등에 적재해 국회로 출동했다. 이들이 지참한 무기 중에는 예광탄 320발, 슬러그탄 30발, 엽총용 산탄 30발, 공포탄 360발, 섬광폭음수류탄 10개도 포함됐다. 수방사 제2특수임무대대 예하 부대 역시 소총 11정, 권총 9정, 드론재밍건 1정 및 5.56㎜ 보통탄 975발, 9㎜ 보통탄 330발 등을 지참해 국회로 출동했다. 수방사 군사경찰단 선발대 역시 소총 9정, 권총 9정, 저격총 1정, 테이저건 10정을 포함해 5.56㎜ 보통탄 525발, 9㎜ 보통탄 363발, 저격탄 40발 등을 소지한 채 국회로 향했다. 정보사령부 역시 1인 당 10발씩 총 100발의 실탄을 준비해 선관위로 출동했다. 이들이 소지한 실탄을 모두 합치면 5만7천발이 훌쩍 넘는다. 다만 공소장에 구체적인 실탄 수량이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어 실제 계엄 때 동원된 실탄 수량은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단독]총리실 국책연구기관 “비상계엄·계엄군 국회 진입, 내란죄 ‘폭동’ 해당”국무총리실 산하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연구원)이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에 따른 무장 계엄군의 국회의사당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계엄군 국회 진입, 유혈사태 의도 었나?계엄군이 국회 진입 시 실탄을 수천 발 갖고 왔다는 확인이 되었고, 국회 진압을 위해 유혈사태까지 감수하겠다고 했던 의도가 담겨 있었다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비상계엄 중 계엄군 국회 진입, 정신교육 논란윤석열 대통령이 선포한 비상계엄 중 계엄군이 국회의사당에 진입한 사건과 이후 계엄군 장병들에게 진행된 정신교육에 대한 논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조지호 경찰청장 국회서 비상계엄 관련 질의에 출석박안수 육군참모총장과 조지호 경찰청장이 5일 국회 국방위와 행안위에서 비상계엄 관련 질의에 출석해, 각각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계엄군 투입 과정과 국회 출입 통제 결정 과정을 설명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박안수, '국회 계엄군 투입 과정 모름' 주장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은 비상계엄 선포에 따른 계엄군 국회 투입 과정을 자신이 몰랐다고 주장했다. 조지호 경찰청장은 국회 출입통제에 대해 박 총장으로부터 요청을 받았다고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변호인단 구성, 비상계엄 사태로 어려움비상계엄 선포 당시 계엄군 진입, 선관위 압수 등의 사태들이 국헌문란, 군인에 의한 폭동, 내란죄를 구성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