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 시엔 충분한 휴식을 먼저 취할 것을 권고했다. 천 교수는 '코로나에 걸리게 되면 병가나 휴가를 내서 푹 쉬는 게 제일 중요하다. 몸 속에서 T세포가 이겨낼 수 있도록 영양을 보충하고 면역력을 올려줘야 한다'고 말했다.
#1. 작년 말 직장에 신입으로 입사한 20대 여성 A씨는 지난달 초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 감염 초반부터 인후통과 기침 등 증상이 꽤 있었지만 1주일, 열흘이 지나면 괜찮아지겠거니 가볍게 생각했다.
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이상 증상'이 계속됐다. 머리가 쪼이는 듯한 두통이 간헐적으로 이어졌고, 가족행사 등 중요한 일정을 기억하지 못하는 일들이 잦아졌다. 전에 없던 일이었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 이같은 '브레인 포그' 현상이 일종의 '코로나 후유증'이란 사실을 알게 됐다. A씨는 병원을 찾아야 하는 일인지도 판단이 서지 않았다.#2. 60대 남성 B씨는 2월 중순 오미크론 변이에 확진됐다. 집단감염이 일어났던 시설에서 일하는 가족한테 옮은 것으로 보였다. 재택치료 집중관리군으로 약 처방을 받다가 격리가 풀린 뒤에도 좀처럼 개운한 느낌은 들지 않았다. 당뇨·고혈압 등의 지병 없이 건강한 편이라 자부해 왔지만 평소보다 쉽게 피로해지는 느낌이 들었다. 까닭 없는 무기력함과 우울감도 찾아왔다.일정과 약속은 점차 줄어갔다. 잠을 일찍 청하려 해도 한 번에 깊은 수면에 들지 못해 뒤척이는 날들이 많다.
3개월 이내 생겨 두 달 이상 지속된다면 '롱 코비드' 의심해봐야 아직 '롱 코비드'를 구분하는 하나의 통일된 시간적 기준은 없다. WHO는 감염 3개월 안에 발생한 증상·징후가 최소 2개월 간 이어지는 현상을 코로나19의 장기 후유증으로 정의했다.방역당국도 비슷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대체로는 이상증상이 석 달을 넘기지 않지만, 그 이후에도 해당 증상이 지속된다면 '롱 코비드'를 의심해봐야 한다는 것이다. 방대본 이상원 역학조사분석단장은 지난달 31일"WHO나 외국은 12주, 약 석 달 정도를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며 "발병한 다음에 석 달이 지난 다음에도 한 1~2개월 정도 더 발생할 수 있는 것을 후유증으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천은미 교수는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어떤 질환을 볼 때 보통 급성과 아급성, 만성으로 나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美CDC '백신 접종보다 코로나 감염된 뒤 심근염 위험성 더 높아' | 연합뉴스(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정성호 특파원=코로나19 백신을 맞았을 때보다 코로나19에 걸렸을 때 심근염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어린이 43% 이미 코로나 감염...후유증도 심할까?■ 진행 : 김대근 앵커■ 출연 : 백순영 /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앵커] 부모님들 같은 경우에는 내가 아픈 것도 아픈 건데 혹시 아이들이 후유증이 남을까 봐 걱정되는 경우도 있잖아요. 아이들에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BTS 정국, 코로나 완치 격리해제…그래미 무대 오른다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최근 미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확진된 방탄소년단(BTS) 멤버 정국(본명 전정국)이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코로나 비하인드] 그들은 왜 '감염'을 숨길까일주일에 한 번씩, 기사에는 담지 못했던 박 기자의 취재물과 생각들을 독자들께 풀어놓습니다. [편집자 주] 두 줄. 분명 아침에 검사 했을 땐 한 줄이었는데, 혹시 몰라 퇴근길 아파트 주차장에서 해본 자가검사 키트에 선명한 두 줄이 찍혔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집서 시간마다 10분간 '이것'하면, 확진 위험 90% 줄어든다'코로나 재택치료자 170만 시대,\r전문가가 특별한 조언을 전합니다.\r미세먼지 환기 확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