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세를 일기로 별세한 영화감독 최양일... 그는 장난스런 눈빛으로 이렇게 말했습니다.최양일 요이치사이 별세
내가 나고 자란 나라가 내 나라가 아니라면 어떨까요. 주어진 이름만으로 내 반 친구가, 선생님이, 은행 창구 직원이 “이 사람은 우리와 다르네”라고 알게 된다면요. 지난달 27일, 73세를 일기로 별세한 영화감독, 요이치 사이가 그랬습니다. 이름의 한자를 보면 한국 사람 아닌가 하실 겁니다. ‘최양일’이라는 이름으로도 활동했던 자이니치 2세 영화감독입니다. 그의 일본어 이름은 ‘최양일’ 세 글자의 일본어식 발음입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라는 이름을 가진 일본계 후손이 한국에서 나고 자라 한국어를 쓰며 사는데, 이름은 ‘덕천가강’을 고집한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1949년생이니, 그가 한창 활동한 시기는 한국과 일본 간 근현대사의 생채기에 딱지는커녕 혈흔이 선연하던 때입니다. 웬만한 용기와 배짱, 어떤 차별이나 피해도 정체성을 위해 감내하겠다는 의지가 엿보이는 대목입니다.
그런 최양일 감독이 남긴 영화들은 정체성에 대한 치열한 고민과 밀도 있는 통찰로 가득합니다. 대표작 ‘피와 뼈’가 특히 그렇죠. 제주도에서 오사카로 건너간 김준평이라는 청년이 괴물로 변해가는 과정을 그렸습니다. 배에서 사람들이 ‘오사카’의 한자 이름을 그대로 “대판이다, 대판!”이라고 외치던 장면이 아직도 생생합니다.영화 개봉과 함께 한국에서 찾아온 그를, 코리아 중앙데일리 신참 기자 시절 만난 적이 있습니다. 한국에서 나고 자랐지만 영어로 기사를 쓰던 저는, 그에게 묻고 싶었습니다. 일본에서 나고 자란 자이니치 감독으로 한국식 이름을 쓰되 한국어를 공부하지 않은 배경을요. 하지만 제 질문은 아마도 통역에서 길을 잃었습니다. 최양일 감독이 ”한국어를 왜 못 하냐는 질문을 듣는 것은 그다지 유쾌하지 않다“고, 누가 봐도 불쾌한 표정으로 답했거든요.
‘피와 뼈’의 주연을 맡았던 배우이자 감독인 기타노 다케시 예명 ‘비트 다케시’는 자신의 홈페이지에 이런 글을 남겼습니다. “동시대의 영화 동료로 언제나 함께 했던 최양일을 잃어버렸다. 맥이 탁 풀려버린다.” 그밖에도 그와 함께 작업했던 많은 배우들이 애도의 메시지를 남겼습니다. 여기에서 혹시, 역시 한국의 DNA가 일본에도 통한 거라고, 통쾌하다고 느끼시는지요. 글쎄요. 최양일 감독은 본인을 한국인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한국의 뿌리는 잊지 않고 그 주제에 천착했지만 말이죠. 한국인도 일본인도 아닌, 그 경계에 있는 한 인간이었을 뿐입니다.
한국에 꽤나 애착도 있었던 것 같습니다. 2004년 당시 그의 영화를 상영한 코아아트홀의 임상백 대표는 2일 제게 “저녁 식사를 했는데 유쾌하게 웃으며 나를 ‘내 아들’이라고 불러주셨던 게 기억난다”고 하뎌군요. 임 대표에게 ‘피와 뼈’의 장기 상영을 부탁했다고도 합니다. 그만큼 자신의 뿌리에 대한 영화가, 자신의 뿌리의 본령인 한국에서 오래 상영되기를 바랐다는 뜻이겠죠.그는 2004년 이런 말도 남겼습니다. “한국인들은 타자를 받아들이는 데 아직 조금 서툰 것 같습니다. 한국에 처음 왔을 때, 왜 선글라스를 쓰고 있냐고 어떤 분이 호통을 치더군요. ‘여러분들이 존경하는 박정희 대통령도 선글라스를 끼지 않았느냐’고 반문하긴 했지만, 씁쓸했어요. 백수로 놀고먹던 시절도 길었지만 항상 저 자신에 대해 표현하고 싶다는 욕구가 있었어요. 자이니치들이라고 정체성에 대해 밤낮 24시간 내내 생각하진 않습니다. 그래도 잊을 순 없죠. 전 그걸 영화로 담아냈을 뿐입니다.
보너스 이야기 한 조각. 최 감독의 스승은 오오시마 나기사였습니다. 그에 대해 2004년 물었을 때 최 감독은 이렇게 장난스런 눈빛으로 이렇게 말했었죠. “오오시마 감독에게 배운 건 딱 두 가지에요. 술 마시는 법과, 친구 사귀는 법. 그런데 말이죠, 결국 인생에서 중요한 건 그 두 가지 아니겠어요?”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월드컵] 한국 축구 '한계' 넓힌 벤투호…연속 멀티 골·평균 1골↑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이의진 기자=벤투호가 카타르 월드컵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포르투갈을 꺾고 16강에 오르면서 한국 축구도 2가지 '한계'를 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CCTV 딱 찍혔다…화물연대 비조합원에 쇠구슬 날린 3명 체포 | 중앙일보이 사건으로 화물차 2대 유리가 파손됐고 운전자 1명이 부상을 입었습니다.\r화물연대 화물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기 도중 마스크 벗고 위험천만 질주…손흥민이 말한 그 순간 | 중앙일보손흥민은 '벗으면 안되죠 사실'이라며 말문을 열었습니다. 이하 일문일답입니다.손흥민 포르투갈전 믹스트존 인터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도시에서 힘들게 사는 분들, 제 이야기 들어보실래요''도시에서 힘들게 사는 분들, 제 이야기 들어보실래요' 귀농 귀촌 월간 옥이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엄마처럼 농사할래요' 로스쿨 나온 아들에게 편지가 왔다'엄마처럼 농사할래요' 로스쿨 나온 아들에게 편지가 왔다 귀농 귀촌 월간 옥이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발로 피아노 치는 '아기체육관'…15분 넘기면 안 되는 이유 | 중앙일보국민 장난감 '아기체육관', 제대로 쓰는 법을 알려드립니다.\r아기체육관 아기 육아 TheJoongAngPlus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