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인숙 영인문학관장 '내 삶 더듬어보는 글쓰기 작업할 것'
송광호 기자=강인숙 영인문학관장이 25일 서울 종로구 평창동 영인문학관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23.1.25최근 에세이 '글로 지은 집'을 펴낸 강인숙 영인문학관장의 말이다. 책은 강인숙·이어령 부부가 거쳐 간 여덟 곳의 집 이야기를 담았다. 한파가 찾아온 25일, 서울 종로구 평창동 영인문학관 내 고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의 서재에서 강 관장을 만났다.그는 구순이지만 정정한 모습이었다. 건강해 보인다고 하자 강 관장은"한 끼만 못 먹어도 못 일어난다. 세 끼 다 먹고 많이 쉬면서 간신히 버틴다"며 손사래를 쳤다.고인은 다독가였다. 세상을 뜨기 직전까지도 책을 사 읽었다. '내가 이걸 다 볼 수 있으려나'라고 말하면서도"돌아가시기 직전까지도 책을 구매했다"고 한다.
그런 이어령 선생의 손길이 닿은 소장 책들을 올해 9월쯤에는 일반인에게 공개한다. 강 관장은"자료 정리를 하는 데 1년이 걸렸다"며"나머지 정리를 끝낸 후 관람객에게 공개할 것이며 운영은 한 번에 사람들이 몰리지 않도록 예약제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했다.돌이켜보면 부부는 서재를 갖고자 오랜 시간 분투했다. 부부는 연구를 위해 자신만의 서재가 절실했지만, 전후 그들은 가난했다. 신혼은 단칸방에서 시작했기에 서재는 언감생심이었다. 어항 속 붕어까지 얼어붙은 북향 방, 별채 같은 셋집, 일본식 적산가옥 등을 두루 거쳐 마침내 첫 집을 가졌을 때는"방해받지 않고 아이를 기를 수 있는 공간이 생겨서 너무 좋았다"고 회고했다.[열림원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부부는 신당동을 거쳐 마침내 1967년 성북동에서 처음으로 꿈에 그리던 각자의 서재를 가졌다. 그곳에서 칠 년을 보낸 후 1974년 평창동에 정착했다. 가파른 지대였기에 집을 지었을 때는 마을에 그들의 집밖에 없었다. 외등도 없고, 전기도 자주 끊겼으며 날씨가 추워지면 수도관도 터졌다. 세월이 흘러 이웃들이 하나둘 들어서면서 상황은 개선됐지만, 이제는 성인이 된 아이들이 각자의 삶을 찾아 하나둘 떠나기 시작했다. 부부의 삶은 단조로워졌고 적적해졌다.식구가 줄어든 데다가 박물관 건립은 숙원이어서 2007년 집을 허물고 박물관을 지었다. 과정은 만만치 않았다. 건축비가 모자라 은행 빚을 내야 했다. 설상가상으로 집을 짓는 도중 미국에 있던 외손자가 숨졌다. 울다가 일어나서 내일 낼 건축비 청구서 비용을 마련해야 했다. 그는 울면서 소장품을 팔았고, 울면서 돈을 빌리러 갔다."미치고 환장할 노릇"이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삶] 김재련 '정치인들, 박원순사건 피해자에 제대로 사과하라'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윤근영 선임기자=김재련(50)은 박원순 성폭력 사건 피해자의 법률대리인을 맡았던 변호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약협, 美바이오 행정명령에 '우방국 차별 안돼' 의견 전달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미국 정부가 지난해 바이오산업에서 미국 내 연구와 제조를 강조하며 발표한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월마트, 최저시급 1만7천원대로 17% 올려…'구인난 지속'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계환 기자=미국 거대 유통기업 월마트가 미국 내 시간제 노동자의 최저시급을 14달러(약 1만7천300원)로 올린다고 로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中 '국내 코로나 주종 BA.5.2와 BF.7…새 변이 미발견' | 연합뉴스(베이징=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중국 질병예방통제센터(이하 센터)는 작년 9월 말 이후 중국 내 코로나19 감염 확산 과정에서 우세종은 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피츠버그 심준석, 미국 출국 '계약금 신경 안 써…꼭 성공할 것' | 연합뉴스(영종도=연합뉴스) 김경윤 기자=미국프로야구 피츠버그 파이리츠와 계약한 강속구 투수 심준석(19)이 계약금 액수와 관계없이 높은 곳을 향해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