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3번의 학대, 가해자만 7명'…'궁금한 이야기Y', 어린이집 아동학대 사건 추적

대한민국 뉴스 뉴스

'513번의 학대, 가해자만 7명'…'궁금한 이야기Y', 어린이집 아동학대 사건 추적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SBS8news
  • ⏱ Reading Time:
  • 40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9%
  • Publisher: 63%

'513번의 학대, 가해자만 7명'…'궁금한 이야기Y', 어린이집 아동학대 사건 추적 SBS뉴스

26일 방송될 '궁금한 이야기Y'에서는 80여 일간 513번의 아동 학대가 일어난 한 어린이집의 실체를 공개한다.

자폐를 지닌 7살 다은이. 늘 애지중지하며 키우던 다은이가 이상한 행동을 보이기 시작한 건 지난해 여름부터였다. 아이가 머리를 바닥에 부딪치며 자해 행동을 하고, 불안증세를 보이기 시작했다고 한다. 궁금증이 풀린 건, 어느 날 아이의 코에 생긴 상처를 발견한 이후였다. 아이 코의 상처에 대해 어린이집 측은"양말을 너무 잘 신어서 딸기코를 했다"고 설명했다. 평소 양말을 신는 걸 싫어했던 아이였기에, 어린이집의 해명이 수상했던 다은이 엄마는 CCTV를 요청했다. 원장은 고장 났다며 공개를 꺼렸고, 결국 다은이 엄마는 경찰에 아동학대 혐의로 신고했다. 그런데 CCTV를 확인한 엄마는 경악을 금치 못했다. 딸기코를 했을 뿐이라는 선생님의 증언과 달리 코를 잡고 이리저리 휘두르는가 하면, 아이의 머리를 바닥에 내리 찧고 의자를 밀치는 등 학대 정황들이 포착됐다.충격적인 건 사건이 발생한 곳은 장애아동을 전담으로 하는 어린이집이었고, 평소 학부모들에게 살가웠던 선생들이었기에 부모들의 충격과 분노는 이루 말할 수 없었다. 더욱 황당한 건 이 모든 것이 선생님들이 아이들을 더 잘 돌보고 싶어서 한 훈육이었으며, 아이들을 위하는 마음만큼은 의심하지 말아 달라는 원장의 해명이었다.

공포 속, 말도 못 한 채 상처받은 아이들은 여전히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이다. CCTV가 버젓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이들은 서로를 방관하며 아이들에게 끔찍한 폭력을 행사한 것인지. 한 어린이집의 학대 사건을 파헤칠 '궁금한 이야기Y'는 26일 금요일 밤 9시에 방송된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SBS8news /  🏆 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서울시에 취업사기 당한 기분'이라는 보육교사, 그 이유가'서울시에 취업사기 당한 기분'이라는 보육교사, 그 이유가'서울시에 취업사기 당한 기분'이라는 보육교사, 그 이유가 서울시사회서비스원 학부모 보육교사 어린이집중단위기 서울시의원간담회 여미애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월 250만원” 양대노총 최저임금 제시안에 미조직 노동자들도 ‘공감’“월 250만원” 양대노총 최저임금 제시안에 미조직 노동자들도 ‘공감’최저임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저임금·미조직 노동자들이 이번 설문조사 결과 분석에 광범위하게 포함돼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세사기 피해자 월소득 156만원 이하만 생계지원, 장난하십니까전세사기 피해자 월소득 156만원 이하만 생계지원, 장난하십니까전세사기 피해자 월소득 156만원 이하만 생계지원, 장난하십니까 전세사기 전세사기_피해 피해자 권지웅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가수 이선희 횡령 혐의…이승기 ‘음원 수익 0원’ 사건 불똥가수 이선희 횡령 혐의…이승기 ‘음원 수익 0원’ 사건 불똥경찰이 횡령 혐의로 가수 이선희씨를 불러 조사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후크엔터테인먼트 횡령 의혹을 수사하던 중에 이씨가 대표이사로 재직했던 기획사 원엔터테인먼트에서 이씨가 자금을 횡령했다는 내용을 인지한 뒤 수사에 나섰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강제동원 생존 피해자 1명 정부안 수용해 판결금 수령강제동원 생존 피해자 1명 정부안 수용해 판결금 수령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생존 피해자 3명 중 1명이 정부의 ‘제3자 변제안’ 해법에 따라 판결금을 수령하기로 했습니다. 강제동원 생존 피해자 가운데 정부의 배상 해법을 거부하다가 수용으로 입장이 바뀐 첫 사례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6 20:2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