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손님' 8명 싣고 우주 향하는 누리호…24일 다시 난다[영상]

대한민국 뉴스 뉴스

'진짜 손님' 8명 싣고 우주 향하는 누리호…24일 다시 난다[영상]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nocutnews
  • ⏱ Reading Time:
  • 72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2%
  • Publisher: 51%

'1, 2차 때는 발사체의 성능 검증이 최우선 목표였지만, 이번 3차 발사는 처음으로 손님을 맞아 우주로 모셔다 드리는 것이기 때문에 '서비스 마인드' 측면에서 가장 큰 차이가 있지 않을까 싶다' 한국항공우주연구..

"1, 2차 때는 발사체의 성능 검증이 최우선 목표였지만, 이번 3차 발사는 처음으로 손님을 맞아 우주로 모셔다 드리는 것이기 때문에 '서비스 마인드' 측면에서 가장 큰 차이가 있지 않을까 싶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고정환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은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3차 발사의 특징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지난 3일 전남 고흥군 소재 나로우주센터에서 열린 현장 설명회에서 기자들의 질의에 고 본부장이 이렇게 답한 데는 나름의 이유가 있다.오는 24일 발사를 앞둔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는 이번 3차 발사에선 실용위성 8기를 싣고 우주로 향한다. 앞서 진행된 1, 2차 발사는 시험비행 성격으로 발사됐다. 누리호에 탑재한 위성 중 일부만 실용이었고, 나머지는 누리호가 실을 수 있는 최대 무게를 가늠하기 위한 모형들이었던 셈이다.

고 본부장은 현재 우리나라 우주산업의 최대 숙원 사업 중 하나로 한국형 발사체의 성공을 꼽았다. 지구 주위를 일정한 속도로 돌면서 통신, 레이더, 학술 연구 등을 수행하는 위성의 경우엔 우리나라도 지난 1992년 8월 우리별 1호 개발에 성공하며 우주시대를 열었다. 위성 개발 시기가 우주산업 선진국들에 비하면 다소 늦었지만 발사체에 비하면 그나마 이른 편이다.2000년대 이전 위성 개발에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발사체 개발이 늦어지면서 우리나라는 그동안 러시아, 미국 등 다른 나라의 발사체에 우리 위성을 태워 우주로 보내는 등 설움 아닌 설움을 겪었다는 전언이다. 우주항공업계에 따르면 최첨단 기술의 집약체인 발사체 기술 만큼은 그 어느 나라도 순순히 기술 이전의 문을 열어주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독자 기술 개발 이외 딱히 방법이 없었고, 위성 개발 후 약 30년이 지난 지금에야 한국형 발사체의 실전 발사에 도전하고 있는 것이다.항우연이 개발한 누리호는 길이 47.

누리호 발사체 조립과 탑재될 위성들에 대한 모든 점검이 끝나면 최종적으로 누리호는 발사 당일 우주센터의 가장 높은 산꼭대기에 위치한 발사대로 이동한다. 우리나라 독자 기술로 개발한 누리호의 75톤급 액체엔진은 1,2차 발사를 통해 연소불안전 등 기술적 장애물은 뛰어 넘은 상태다. 당일 기상 악화와 외부 돌발 변수만 발생하지 않으면 누리호의 계획된 일정대로 발사는 큰 무리가 없다는 분위기다.발사대 작업을 총괄하고 있는 강선일 책임 연구연은 비가 내릴 경우 발사 일정 변동 가능성에 대해"사실 비는 발사 여부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데, 통상 비가 내리면 번개를 동반하기 때문에 그런 부분이 변수"라며"특히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건 바람이다. 누리호 발사 직전 약 5초 정도는 발사체를 지탱하던 구조물이 풀리고 가장 취약한 상황에 놓이는데 이때 강풍이 불면 목표 궤도가 틀어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3차 발사는 한국형발사체 고도화 사업의 하나로 누리호 조립 절차에 민간 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참여한다. 고도화 사업은 발사체의 반복 발사와 민간 기술이전을 통해 기술의 신뢰성을 높여 궁극적으로는 우리나라 역시 민간 우주항공산업을 발전시키겠다는 계획이다.미국의 경우에도 초창기엔 정부 주도로 나사가 기술 개발 등을 이끌었지만, 최근엔 일론 머스크의 민간 기업 스페이스X 등이 우주개척에 뛰어든 상태다. 우리나라는 이번 3차 발사에 이어 향후 2025년 4차, 2026년 5차, 2027년 6차 발사 등 추가 실험을 성공시키면서 발사체 기술의 안정화를 증명하겠다는 계획이다.발사체 기술을 완전히 섭렵한 이후에는 우주 및 달 탐사를 위해 차세대 발사체 운영을 꿈꾸고 있다. 오는 2032년까지 달 착륙선을 이용해 달 탐사, 2045년까지는 화성 착륙 등 7대 우주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nocutnews /  🏆 18.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실제 위성 싣고 우주로'…누리호 3차 발사 준비 착착'실제 위성 싣고 우주로'…누리호 3차 발사 준비 착착지난해 두번째 발사에서 궤도 안착에 성공했던 누리호, 이번엔 더 큰 꿈에 도전합니다. 3주 후인 이달 24일 세번째 발사에서 목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누리호 발사준비] ① 1·2단 조립 마치고 위성 손님 맞이할 채비 | 연합뉴스[누리호 발사준비] ① 1·2단 조립 마치고 위성 손님 맞이할 채비 | 연합뉴스(고흥=연합뉴스) 조승한 기자=지난 3일 찾아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발사체 조립동 현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기시다, 내일 한일 정상회담…'셔틀외교' 12년 만 복원 | 중앙일보윤-기시다, 내일 한일 정상회담…'셔틀외교' 12년 만 복원 | 중앙일보‘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배출 계획 안전성 공동검증’ 합의도 관심사입니다.\r윤석열 기시다 정상회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본 강진에 기시다 '방한, 피해상황 보고 판단'일본 강진에 기시다 '방한, 피해상황 보고 판단'이시카와현서 규모 6.5 지진, 1명 사망·20여 명 부상... 일 기상청 "여진 주의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누리호 발사준비] ② 첫 탑승하는 실용위성…국산영상레이더도 최초운용 | 연합뉴스[누리호 발사준비] ② 첫 탑승하는 실용위성…국산영상레이더도 최초운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나확진 기자=24일 3차 발사를 앞둔 누리호에는 모두 8기의 인공위성이 실린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7 01:0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