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임으로 취임할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대통령이 움직일 외교적 공간을 만들어주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됩니다.
남중국해 개발을 놓고 중국에 유화적인 태도를 취해온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이 오는 30일 퇴임을 앞두고"중국과 우호적 관계를 정리하라"는 지시를 내렸다.中 강경일변도… 악화되는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24일 CNN필리핀 등 현지매체와 외신 등에 따르면, 데오도로 록신 주니어 필리핀 외교장관은 전날 외무성 출범 124주년 기념식에서"두테르테 대통령이 최근 '남중국해에서 불법적인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중국과의 석유 및 가스 공동 탐사와 관련된 논의를 완전히 종결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어"이번 지시는 보류의 성격이 아니라 모든 논의를 끝내라는 취지"라고 강조했다.양국은 남중국해 영유권을 두고 충돌을 반복해 왔다. 중국은 심지어 남중국해에 U자 형태의 9개 선을 그어 90%가 중국 영역이라는 주장을 펼쳤고, 필리핀은 이에 반발해 국제상설재판소에 제소하는 등 갈등 수위를 높여 왔다.
하지만 실익이 없다고 판단한 두테르테 대통령은 유화책의 일종으로 지난 2018년 남중국해 공동탐사를 제안했고, 중국도 이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필리핀의 바람과 달리 유화책은 3년이 넘는 시간 동안 아무런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다. 공동탐사에 소극적이던 중국이 오히려 분쟁 도서에 해군기지를 건설하는 등 '마이웨이'를 걸었기 때문이다. 중국의 태도는 최근 들어 더 강경일변도로 흐르고 있다. 중국 해양순시선이 지난 3월 스카보러 암초 인근에서 순찰 중이던 필리핀 해양경비정에 접근해 위협을 가하는가 하면, 최근에는 남중국해에 일방적으로 금어기까지 설정해 남중국해 연안국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두테르테의 '논의 종결' 지시는 후임 마르코스를 향한 배려의 성격이 짙다. 전임 정권이 만든 유화책이 새 정권의 행보에 제약을 주지 않도록 미리 철회 조치를 해둔 것이다. 마르코스 신임 대통령은 지난달 당선 직후"필리핀의 주권은 신성하며, 남중국해 문제는 절대로 타협할 대상이 아니다"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동남아 외교가 관계자는"두테르테에 이어 지난 17일에는 미국 국무부가 필리핀 지지 성명을 내는 등 신임 대통령에 대한 외교적 공간이 충분히 마련되고 있다"며"중국이 기조를 바꾸지 않는 한, 마르코스 시대에도 남중국해 문제는 양국의 가장 첨예한 갈등으로 남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댓글 쓰기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당신이 관심 있을만한 이슈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연합뉴스, 오늘 한반도평화 심포지엄…한반도의 미래 모색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홍제성 기자=강대국의 패권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국제질서 전환기 속에서 한반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미일 정상회담, 나토서 29일 열릴듯…日언론 '한일은 간담회'(종합) | 연합뉴스(도쿄·서울=연합뉴스) 박성진 특파원 정아란 기자=한미일 정상회담이 오는 29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가 열리는 스페인 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국서 폐차 앞둔 테슬라 차에 불…연못 파 가까스로 진화화재가 발생한 테슬라 모델S 차량. 〈사진=미국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 소방서〉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테슬라 차량에 불이 나 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봉준 마지막 거주지' 이곳... 표지판 하나 없어 아쉽다'전봉준 마지막 거주지' 이곳... 표지판 하나 없어 아쉽다 전봉준 김개남 동곡리_동곡마을 전봉준_마지막_거주지 전봉준공초 박용규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공개] 우리나라에 이런 교도소는 처음이라고요?새 국군교도소의 내부 모습이 공개됐습니다. 오늘 준공식을 앞둔 군은 앞서 지난 20일 언론을 대상으로 경기 이천시에 위치한 신축 국군교도소에 대한 사전 브리핑을 진행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엔 참전용사 메달 걸어준 尹…'여러분 없인 누리호 영광 없어'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정아란 기자=윤석열 대통령은 한국전쟁 발발일을 하루 앞둔 24일 국군 및 유엔군 참전유공자와 오찬하며 사의를 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