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을 농업용수로 사용하고 탐방객 등 시민의 친수활동이 계속되는 창원 주남저수지에서 올해 여름 녹조가 창궐하고 있는 가운데, 주변 농산물과 주민피해 영향조사를 실시하고 안전 관리 기준 마련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주남저수지 녹조를 계속 조사해온 임희자 경남시민환경연구소 정책실장은 28일 |오...
물을 농업용수로 사용하고 탐방객 등 시민의 친수활동이 계속되는 창원 주남저수지에서 올해 여름 녹조가 창궐하고 있는 가운데, 주변 농산물과 주민피해 영향조사를 실시하고 안전 관리 기준 마련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올해 주남저수지 녹조는 6월 26일 관찰됐고,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다. 시민환경단체들은 지난 7월부터 녹조 관련 대책 마련을 촉구하면서 성명서 발표에 기자회견, 창원시청 항의방문을 하기도 했다. 또한 거리에서 손팻말을 들고 1인시위를 진행했다.
그는"최근 주변 농업의 형태가 양액시설농가 증대로, 퇴비사용량이 늘어나면서 부영양화가 극심한 농업폐수가 주남저수지로 흘러 들고 있는 것도 하나의 원인"이라며"양액폐수 관리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라고 했다. 녹조가 섞인 물을 농업용수로 사용하는 것을 제한해야 한다는 것. 탐방객을 비롯한 주민 환경피해를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 정책실장은"녹조로부터 안전성이 확보될 때까지 시민안전의 자구책으로 녹조위험성을 알리는 안내판을 주남저수지에 설치해야 한다"라며"이는 미국의 친수활동기준을 따르면 된다"라고 설명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낙동강 하굿둑까지 녹조 범벅... 영남인은 2등 국민인가?지난 11일 낙동강 현장을 찾았다가 녹조가 창궐한 현장 소식을 신속히 전한 바 있다. [관련 기사] 낙동강은 지금 거대한 녹조공장... 이런 일은 정말 없었다 https://omn.kr/29rzn 다시 낙동강을 찾았다. 지난 현장조사가 상류와 중류 중심이었다면 16일~17일 이틀에 걸쳐 필자가 사는 낙동강 중류인 대구에서부터 낙동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상추 171%·오이 99%↑…7월 생산자물가 전월비 0.3% 상승(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지난 달 집중호우 등 탓에 채소를 비롯한 농산물 중심으로 생산자물가가 올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조사에서도 '낙동강 녹조' 더 심해졌다낙동강 녹조가 더 심해졌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은 22일 오후 3시를 기해 낙동강 칠서, 물금매리 지점에 대해 조류경보 두 번째 단계인 '경계'를 발령했다. 낙동강환경청은 최근 10년간 낙동강 유역에서 가장 늦은 첫 경계 발령이라고 설명했다. 칠서와 물금매리 지점은 지난 8일 가장 낮은 '관심' 발령 이후 보름만에 단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낙동강 뒤덮은 '최강 녹조', 환경부는 대체 뭐하나'무자치가 생각보다 작구나!' 물뱀인 무자치가 세종보 천막농성장 근처를 어슬렁거리는 것을 발견했다. 지리산 활동가가 꼬리를 살짝 잡아 올렸는데 생각보다 크기 않아서 의외였다. 매끈한 몸을 스르륵 움직이는데 제법 우아하다. 작아도 움직임은 민첩하고 예민했다. 한참 동안 농성장 주변을 서성이다 어디론가 사라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낙동강 녹조, 이 정도 상황이면 비상사태 아니냐''이 정도 상황이면 비상사태 아니냐.' 8월 초순에 생겼던 낙동강 녹조가 하순까지 계속 창궐하는 속에, 최근 현장 조사를 벌인 박창근 대한하천학회장 겸 가톨릭관동대 교수가 24일 와 전화통화에서 한 말이다. 박 교수는 지난 19일부터 사흘 동안 환경활동가‧전문가들과 함께 '2024 낙동강 비질란테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낙동강 곳곳 녹조 창궐... 재앙 상황 막아야'연일 폭염으로 낙동강에 녹조가 창궐하고 있다. 물금·매리 지점에 조류경보 '관심' 단계가 발령된 가운데, 지역의 여러 단체는 '해마다 되풀이하는 녹조재앙 상황을 막아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13일 낙동강유역환경청, 대구지방환경청에 따르면 닷새 전인 지난 8일 낙동강 창녕함안보 칠서 지점과, 물금·매리, 강정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