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학교 차별문제' 발 벗고 나선 일본 아미들 아미 김지운 차별 ARMY 조선학교 김지운 기자
다큐멘터리 은 2010년부터 시작된 일본의 고교무상화 제도에서 유일하게 배제된 10개의 조선고급학교 중 5개 학교가 국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사건을 좇은 다큐멘터리이다. 한국에서는 지난 3월 22일 전국극장개봉, 현재 상영을 진행중이고, 일본에서는 4월 1일 오사카 시네누보 영화관에서 개봉, 한·일 양국에서 동시에 관객들을 만나고 있다.일본에서는 독립영화나 예술영화의 경우 와이드 릴리즈 방식이 아닌 로드쇼 방식으로 상영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로드쇼를 진행하는 중간중간 영화관 외 자체적으로 상영회를 주최하는 자주 상영이 많고 최근에는 온라인 상영도 함께 진행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지난 3월 26일 다큐멘터리 도 일본에서 온라인 상영을 진행했다. 특이한 점은 이 상영회의 주최자가 영화배급사가 아닌 일본 아미 활동을 하는 회사원 하즈키씨와 4명의 동료 아미들이라는 것. 상영회는 신청자가 몰려 일찍 접수를 끝냈다.
"3월 5일 에다가와에 있는 도쿄조선제2초급학교에서 영화 상영회가 열린다고 트위터를 통해 알게 됐고, 조선학교에 가본 적이 한 번도 없었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조선학교를 가봐야겠다는 단순한 마음으로 상영회에 참가했습니다. 그런데 을 보고 나서 내가 일본의 조선학교 차별 문제에 대해서 너무 모르고 있었다는 것에 충격을 받았습니다. 이건 일본 사회의 문제인데 몰랐다고. 그래서 동료 아미들이나 사회문제에 대해 생각을 나누는 K-pop 팬들이나 한국 문학을 좋아하는 사람들과 함께 을 보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제 온라인 친구들은 지방에 살고 있거나 여러 가지 이유로 영화를 보러 나가는 것이 어려운 사람이 많습니다. 그래서 그 사람들과 함께 을 보고 생각을 나누고 싶어서 온라인 상영회를 생각했습니다. 얼마 전 함께 우토로 마을의 우토로 평화기념관에 갔던 일본 아미들에게 제안을 했고 함께 하겠다는 4명의 아미와 저, 총 5명이 이번 온라인 상영회를 열게 됐습니다.""메일을 잘못 보냈거나 해서 참가해 주신 몇몇 분께 폐를 끼치기도 했지만 온라인 상영회는 무사히 끝났습니다. 관객들의 소감은 다양했는데 조선학교 차별문제에 대해서 너무 몰라서 죄송하다거나, 내가 조선학교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구체적으로 생각하고 싶다거나, 자신이 직접 온라인 상영회를 열어 조선학교 차별문제를 일본사람들에게 알리고 싶다는 목소리도 있었습니다.
우토로 마을의 역사에 대한 기록을 남겨주고 평화기념관을 만들어줘서 감사했습니다. 일본의 식민지 역사에 대해 잘 모르는 일본인들에게 더 많이 알려져서 함께 배울 수 있는 자리를 많이 만들어 달라고 했습니다. 정말 고마웠고 우토로 평화기념관을 꼭 지켜야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일본 아미도 많으니까, 어디까지나 제 경우의 이야기입니다만, BTS의 팬이 되고 나서, BTS의 '다이너마이트'가 빌보드 1위를 하거나, 노래 프로그램에 나오거나, 화제가 될 때마다 트위터에서는 원폭 티셔츠에 대한 항의나 비난 트윗이나 악성 댓글이 달려서 왜 그럴까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여러 가지를 살펴봤는데, 그렇게 비난하는 사람들은 똑같이 자이니치 코리안에 대해서도 증오 발언이나 소수자 차별 발언을 반복하고 있었습니다.
5인의 일본 아미들의 선한 영향력이 나비효과가 되어 한국 아미들과 더불어 함께 조선학교 차별,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및 강제동원 문제 등 과거 잘못된 식민의 역사문제를 제대로 알리고 올바른 미래를 만들어 가는, 그런 행복한 상상의 나래를 펼쳐본다.우토로 마을은 1940년대 초반 일본 교토 군사비행장 건설에 동원된 조선인들의 집단 거주지로, 광복 후에도 임금 체불 등의 사정으로 귀국하지 못한 한국인들이 1980년대까지 상수도 시설이 없을 정도로 열악한 환경과 차별 속에서 살아온 곳이다. 1989년에는 토지 소유권이 일본 부동산 업자에게 넘어가 주민들이 퇴거 위기에 몰리기도 했고, 2021년에는 한국이 싫다는 일본인이 불을 내 큰 피해를 입기도 했다.일본 교토부 우지시 우토로 마을에 2022년 4월 30일 개관한 기념관으로, 일제 강점기 일본 비행장 건설에 동원됐던 조선인들이 터를 잡은 '우토로 마을'의 아픈 역사를 담아낸 공간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살아가야 할 이유가 더 많은 삶''살아가야 할 이유가 더 많은 삶' 한송이 일본 SATOSHI 데이지 도쿄 신예진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덕수 “일본 언론, 일일이 조치하기 보다는”···박용진 “우리 언론은 비행기도 안 태우면서”한덕수 국무총리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와 관련한 일본 언론의 보도에 대해 “일일이 하나하나의 신문을 쫓아다니면서 조치를 하는 것은 우리 정책을 명확하게 집행하는 것보다 우선순위는 적다”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대통령님, 제발 아무 것도 하지 마세요[반도체 다섯 번째 특별과외] 일본 소부장 업체 유치는 한국 소부장 산업에 대한 자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주당 “강제동원 피해자가 돌덩이? 한덕수, 일본 총리인가”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4일 한덕수 국무총리가 전날 대정부질문에서 일본 강제동원 피해 제3자 변제안 발표 후 이뤄진 한·일 정상회담을 두고 “돌덩이를 치웠다”고 발언한 데 대한 비판을 이어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저기 타면 큰일' 발 동동…시뻘건 불기둥, 학교 담벼락 덮쳤다 | 중앙일보홍성군 서부초등학교 앞 도로. 마을 주민 50여 명이 나와 불길을 걱정스럽게 지켜봤습니다.\r르포 충남 홍성 산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