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대 성장연구소 리카르도 하우스만 소장 인터뷰세계 경제 트렌드는 '업무교역'국경 넘는 서비스 교류 활발자국민에 한정된 고용방식은국가·기업 발전 막는 걸림돌한국경제 혁신 이끈건 대기업사내 기업가정신 힘 실어줘야
한국경제 혁신 이끈건 대기업"제조업에선 보호무역주의가 기승을 부리지만, 서비스 분야에선 글로벌화가 가속화할 것이다. 이에 고급 인력에 대한 이민 정책이 성장의 열쇠가 될 것이다."세계경제포럼 폐막일인 24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매일경제와 만난 하우스만 소장은 업무 교역의 증가, 탈탄소화, 인공지능 등 세 가지를 키워드로 꼽았다. 그중에서도 특히 업무 교역의 증가를 강조했다. '업무 교역'이라는 개념은 상품 교역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제조업 상품이 아닌 서비스업에서의 무역을 의미한다.
하우스만 소장은"이같이 서비스 교역은 상품 교역보다 훨씬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앞으로도 전 세계적으로 이런 추세가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이는 다양한 서비스 업무를 여러 나라에 분산시키는 일종의 가치 사슬 분할"이라고 강조했다. 하우스만 소장은 미국도 예외가 아니라고 했다. 그는"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고숙련 이민 정책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보일지, 아니면 폐쇄적으로 나올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며"실리콘밸리는 개방적인 정책을 옹호하지만, 공화당 내 주류 인사들은 폐쇄적인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만약 미국이 고숙련 인재에 대한 접근성을 잃는다면 그 대가는 매우 클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내수부진에 트럼프 2기 출범까지…반도체·자동차 등 줄줄이 ‘매출 악화’ 전망산업硏 제조업 경기실사지수 고환율·인플레·내수침체 우려 제조업 전부문서 부진 전망 우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필리핀, FTA 통해 아태 무역 협력 강화한국·필리핀 FTA 발효, 무역 격차 해소 및 경제적 교류 확대 기대. 역사적 무역 교류 흐름 이어가며 아태 지역 활발한 무역 시스템 참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레페리, 2024년 벤처창업진흥 공로 인정받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표창 수상글로벌 뷰티 크리에이터 비즈니스 그룹 레페리가 글로벌 시장에서 K뷰티의 위상을 높이며 벤처기업으로서 혁신적인 경영을 실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빅테크·월가의 방패막 자처한 트럼프…“중국이 미국 악용, EU는 아주 나빠”트럼프, 관세 이어 조세폭풍 글로벌 세금 리스크 강타 “美 차별하는 국가 조사” 지시 징벌적 세금으로 보복 예고 OECD 글로벌 최저한세 탈퇴 조세피난 방지 제도 무력화 FT “美, 글로벌 세제에 도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북한 가족 생사 확인 못한 이산가족 75.5%…교류 기회 5%에 불과통일부 실태조사 결과, 북한 가족 생사 확인 못한 이산가족 비율이 매우 높고, 교류 기회도 제한적임이 드러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관세맨’ 트럼프 취임 D-7 ··· “美 제조업 관련주 주목해야”관세정책 밀어붙이는 트럼프 美 제조업 경기는 회복세 공조·전력 관련주 상승 기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