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감세 무엇이 문제인가' 토론회...'재정책임성으로 접근해야'
윤석열 정부가 상속세 완화 등 감세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오히려 증세를 통해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그동안 감세 기조로 인한 세수 부족 사태가 벌어지고, 이에 따른 재정건전성 악화, 긴축재정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끊고, 오히려 적극 재정 정책으로 공공성을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 교수는"지금 우리가 보는 모습들이 새롭지 않다. 박정희, 전두환 정권 때도 감세를 엄청 했다"면서"당시 인플레이션 때문에 재정 총량 자체를 줄여 엄청나게 긴축을 했고, 감세를 계속했다"고 설명했다. 이어"당시에는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경제가 성장하는 단계였고, 경제가 성장하면 GDP가 커지니까 저절로 세금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재정 정책도 적극성을 가지지 못했다. 나 교수는"IMF 위기로 인해 산업화가 한풀 꺾여서야 국가가 사회적 위험에 대한 해결에 나서게 됐다"면서"재정 지출 구성의 변화도 점차 이뤄져 복지 지출이 교육 지출을 앞지른 것은 2005년에서야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정명근 시장, 일차전지 공장 화재 '특별재난지역 선포' 건의화성시, 서신면 일차전지 제조업체 화재 수습 본격화... "규정 이외의 지원책도 적극 발굴 필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범야권 6개 정당, 오송참사 국정조사 요구"이제 국회의 역할이 필요... 재난 관리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대안 제시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명수칼럼]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차라리 사망선고를원리금 보장 상품에 '몰빵'노후자금 증식효과 미미퇴직연금 선택권 늘려줘은퇴후 경제자유 확대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데스크] 상속세 미술품 물납 1호는 언제?대상·절차 너무 까다로워작년초 도입후 감감무소식국가문화유산 확충 위해제도 보완·허용 확대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5·18광주'와 '4·3제주' 국립 트라우마치유센터 개관강기정 광주시장 "국가폭력 치유를 넘어 세월호·이태원 참사 등 지원 대상 확대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급 해고통보, 심지어 '제사음식' 요구도... 무시받는 돌봄노동자들[젠더+노동+건강 ON] 요양보호사 시장화 중단하고 공공성 확보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