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린치' 사건도 있었습니다.\r건설 노조 민주노총 한국노총
“새벽 6시면 노조원 40여명이 공사장 정문을 차단하고, 모든 사람의 신분증을 검사합니다. 외국인은 합법 노동자라도 겁먹고 다 도망가죠. 드론 띄워서 쉬는 시간에 담배 피우거나 안전모 벗은 인부들 사진 찍고요. 사법경찰이나 다름 없어요.”
지난 8일 만난 건설업체 A사 임원은 연신 한숨을 쉬었다. A사는 전국 건설현장 10여곳을 책임지는 하도급사다. A사가 공개한 지난해 3~4월 경기 고양시 일대 공사장의 노조 피해 일지는 ‘월화수목금토’ 내내 집회·태업·무단출입 기록으로 빼곡했다. 이 임원은 “채용 강요나 금품 요구에 쓸 협박거리 하나만 걸리란 식”이라며 “공사 기간과 금액을 맞춰야만 하는 하도급사의 약점을 이용한다”고 토로했다. A사의 2~3월 예상 피해액은 인건비 손실, 업무방해로 인한 공정지연 등을 합쳐 약 16억원이다.21일 경찰청·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는 ‘범정부 건설현장 불법·부당행위 근절대책’을 발표했다. 정부 차원에서 건설현장 불법 행위에 대해 전방위적 단속·수사에 나서면서, 그간 현장에서 쉬쉬했던 황당한 피해 사례들도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대표적인 게 채용 강요다. 한 예로 민주노총 건설노조 경기중서부지부가 요구한 조합원 고용률은 직종별로 70~100%에 달했다. 전국 25개 현장을 관리하는 B하도급사 이사는 “공사 첫날 망치 한 번 안 들어본 노조원들이 우르르 몰려와 ‘이제부터 같이 일하라’고 선언한다”며 “직함은 목수팀장, 철근팀장인데 도면도 못 보면서 월 700만원씩 가져간다”고 호소했다. A사 임원은 “비노조원이나 외국인 근로자만큼 생산성이 나면 아무 문제 없다”며 “작업 효율성이 절반인데 채용 안 하면 집회, 태업 등으로 괴롭히니 미치겠는 것”이라고 말했다.2021년 경기 양주시에선 건설업체가 채용 요구를 들어주지 않자 레미콘 차량 통행로에 동전 수천 개를 뿌리고 하나하나 천천히 주워가며 공사를 방해한 기상천외한 사례도 있었다. 이들은 증거 인멸을 위해 집회 당시 사용한 무전기 어플을 삭제키도 했다. 이 사건으로 민주노총 간부 2명이 지난달 구속됐다.
채용 강요, 집회·태업 등으로 인한 피해는 결국 공사 지연과 이에 따른 금전적 손실로 귀결된다. 특히 노조와 원청 사이에 낀 하도급사에 피해가 몰린다. 성남 대장동 일대 아파트 공사를 맡았던 C하도급사는 약 79억원의 손실 감당이 어려워지자 공사를 포기했다. D하도급사는 양주 공사 현장에서 노조원 과투입, 무노동자 임금 등으로 1년간 약 72억원을 손해봤다. D사 관계자는 “양주 현장에서 근무하던 30년 넘게 근속한 임원이 ‘노조 때문에 너무 힘들다’며 극단적 선택을 시도했다 가까스로 살아난 적도 있다”고 주장했다.건설노조의 불법행위는 2017년부터 급격히 늘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박광배 건설정책연구원 박사는 “5~6년 전쯤 전국에서 아파트 공사가 활성화되면서 합법·불법을 막론하고 외국인 노동자 없이는 건설현장이 버틸 수 없게 됐다”며 “불법 외국인 단속을 빌미로 노조들이 영향력을 키워나갔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건설현장 갈등은 체불·고용문제 때문, 노조 탄압 안돼''건설현장 갈등은 체불·고용문제 때문, 노조 탄압 안돼' 건설노조 경남경찰청 민주노총 윤성효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외국인 노동자 불법채용 처벌완화가 건설노조 불법행위 근절 방안?국토교통부는 21일 법무부·고용토동부·경찰청 등 관계부처와 함께 이같은 내용의 ‘건설현장 불법·부당행위 근절 대책’을 국무회의에서 보고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청약도 않고 원하는 집 골라갔다…모델하우스 앞 '텐트족' 누구 | 중앙일보이 아파트, 청약 평균 경쟁률이 0.3대 1에 그쳤던 곳입니다.\r청약 부동산 모델하우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언론인 갑질 ‘천태만상’…광고주협회 “제보받습니다”한국광고주협회가 20일 ‘사이비언론신고센터 3.0’을 열었다. 광고주협회는 20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신고센터 3.0에서는 악의적 기사로 광고를 강요하는 매체뿐 아니라, 지위를 악용해 기업에게 협찬, 물품 등을 요구하는 일부 언론인들도 제보 대상”이라고 밝혔다. 광고주협회가 밝힌 사이비언론행위 유형은 △기업 왜곡·부정 기사 게재 또는 비보도 조건 광고 요구 △기획기사·광고형(특집) 기사 등을 빌미로 광고·협찬 강요 △세미나·시상식 협찬 요청 불응에 대한 보복성 보도 △포털 입점을 빌미로 한 광고 증액 요구 등이다. 협회가 밝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언론인 갑질 ‘천태만상’…광고주협회 “제보받습니다”한국광고주협회가 20일 ‘사이비언론신고센터 3.0’을 열었다. 광고주협회는 20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신고센터 3.0에서는 악의적 기사로 광고를 강요하는 매체뿐 아니라, 지위를 악용해 기업에게 협찬, 물품 등을 요구하는 일부 언론인들도 제보 대상”이라고 밝혔다. 광고주협회가 밝힌 사이비언론행위 유형은 △기업 왜곡·부정 기사 게재 또는 비보도 조건 광고 요구 △기획기사·광고형(특집) 기사 등을 빌미로 광고·협찬 강요 △세미나·시상식 협찬 요청 불응에 대한 보복성 보도 △포털 입점을 빌미로 한 광고 증액 요구 등이다. 협회가 밝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