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의 21세기 달탐사 계획 '아르테미스 계획'이 무엇일까요.\rNASA 나사 달 기지
미국 항공우주국이 3D 프린트 기술로 달 기지를 건설합니다. 착륙장, 거주지, 도로와 같은 인프라를 3D 프린트로 짓는다는 거죠. NASA가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21세기 달탐사 계획 ‘아르테미스 계획’의 일환입니다.2020년대 말쯤 달 표면에 3D 프린트로 건축물이 세워진다. NASA는 기술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3D 프린트 건축 스타트업과 손잡고 테스트에 나섰다. 달에 인간이 살아가는 꿈 같은 일이 10년 내로 이뤄질 전망이다. 사진 아이콘
사상 최고의 추진력을 지닌 로켓 SLS가 우주선 오리온을 싣고 달을 향한 항해를 시작했다. 아르테미스 미션에선 달 표면을 밟는 것에 그치지 않고 우주 공간에서 인류가 살아갈 수 있는지를 테스트할 것이다. 사진 NASA인류는 53년 전인 1969년, 아폴로 11호의 선장 닐 암스트롱이 달 표면을 밟았습니다. 인류가 최초로 달을 밟는 역사적 순간이었죠. 그런데 왜 다시 달을 향한 항해를 시작하는 걸까요. 인류는 아르테미스 계획을 바탕으로 화성과 외행성에도 차근차근 인류의 흔적을 남길 예정입니다. 아폴로가 잠깐 달에 여행을 다녀온 것이라면, 아르테미스는 달에 이민을 가는 것과 마찬가지죠.
3D 프린트는 기존 건축 기술에 비해 간편하고 효율적이다. 황정아 박사는 “달 표면에 기술을 적용하는 건 현 단계로선 해운대 모래사장 위에 모래성을 짓는 것처럼 공상과학에 가까운 아이디어”라며 “하지만 실현만 된다면 3D 프린트가 달에 건물을 올리는 데 가장 적합한 방법일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 아이콘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3D 프린트였습니다. 아이콘의 기술력은 네 가지 분야로 나뉩니다. 3D 프린트 기계인 벌컨, 시멘트와 비슷한 건축 자재인 라바크리트, 라바크리트를 버무리고 공급하는 소형 공장인 마그마, 설계도면대로 건물을 짓게 하는 빌드 OS입니다.
달 기지 건설엔 지구에선 사용하지 않았던 새로운 기술이 하나 더 추가됩니다. 레이저로 달 표층에 있는 ‘레골리스’를 녹여 단단한 구조를 만드는 기술입니다. 레골리스는 달 표면을 덮고 있는 퍼석퍼석한 흙입니다. 규소와 금속산화물로 이뤄져 있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구단주 이 말에 감독 결심'...이승엽이 밝힌 두산 영입 후일담 | 중앙일보두산은 구단과 인연이 없고, 지도자 경력도 없는 이 감독에게 지휘봉을 맡겼습니다.두산 두산베어스 이승엽 인터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돌연 제로코로나 포기한 중국…배후엔 이 남자의 편지 한 통 | 중앙일보중국 국무원은 지난 11월 11일 20가지 방역 완화 조처를 발표했습니다.\r중국 방역완화 편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원작은 14년 스테디셀러, '영웅' 제작진 의지 돋보여원작은 14년 스테디셀러, '영웅' 제작진 의지 돋보여 영웅 안중근 조우진 정성화 김고은 이선필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빅뱅 탑, 억만장자와 함께 '달 여행'간다…한국 민간인 최초마지막 검색어는 빅뱅 탑 '달 여행'입니다. 그룹 빅뱅의 탑이 한국 민간인 최초로 우주선을 타고 달 여행을 하게 될 전망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나치 독일군을 속여 수업한 유대인은 어떻게 됐을까?재치와 죽음이 아찔하게 공존하는 풍경을 담아낸 영화 ‘페르시아어 수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본 괴짜 부자와 해외 셀럽들과 함께 달로 여행 떠나게 된 빅뱅 멤버빅뱅 탑, 민간인 최초로 달 여행 떠난다 “자부심과 책임감 느껴”newsvop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