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영화 김태용 감독
장편 영화만으로 13년 만이라지만 감독 입장에선 좀 억울할 수도 있겠다. 그간 꾸준히 단편 연출과 기획, 무대 감독 등 작품 활동을 해왔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대중영화로 극장에서 오롯이 김태용 감독의 인장을 만끽하고 싶은 관객 입장에선 오랜만인 건 사실이다. 지난 5일 개봉한 영화 는 감독 특유의 따뜻한 시선과 SF라는 장르적 틀이 결합한 작품으로 여타 기대감을 받아 왔다.결과물을 보면 AI를 소재로 한 일종의 휴먼드라마다. 자신의 죽음을 예견한 고고학자, 그리고 식물인간이 된 연인을 그리워한 이가 원더랜드라는 서비스를 이용하며 가족과 연인에게 생동감 있을 때 모습 그대로 소통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움을 이용한 일종의 상품인 셈. 여기엔 김태용 감독이 꽤 오랫동안 품고 있던 과학기술 관련 본질적인 질문도 담겨 있었다.알려진 대로 처음 기획의 시작은 영상통화였다.
결국 인공지능은 관계이고 감정의 문제라 감정적 변화가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영화에 반영하려 했다."외로움과 그리움의 본질은 관계에 대한 본능적인 갈망일 것이다. 혼자임을 인식하고 있지만 누군가와 그것도 소중한 존재라 생각하는 사람과 아주 떨어진 채 살 수 없다는 생각을 종종 한 경험들. 김태용 감독은"슬픔을 극복하는 방식이 시기마다 다른 것 같다"며"아주 묻어둬야 할 때도 있지만, 어느 순간 일상에 파고 들어와도 인정하고 살아가기도 한다"고 말했다."동남아 지역을 여행하는데 집집마다 유골을 모시고 있더라. 나라마다 다르겠지만, 죽음 이후 살아있는 사람들은 그 세계와 연결되어 사는 것이다. 당장의 슬픔은 직면하기 힘들겠지만, 일상과 연결되어 있을 때 그 슬픔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한다. 는 그런 욕망에 맞춘 기술의 상품화를 담았다.탕웨이씨와 많이 질문을 주고받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인터뷰] ‘원더랜드’ 김태용 감독 “♥탕웨이 계속 질문, 노력하는 배우”김태용 감독(55)이 아내 탕웨이(44)와 함께 작업한 ‘원더랜드’로 스크린에 도전장을 내민다. 김태용 감독이 영화 ‘만추’(2011) 이후 13년 만에 내놓은 영화 ‘원더랜드’는 죽은 사람을 인공지능으로 복원하는 영상통화 서비스 원더랜드를 통해 사랑하는 사람과 다시 만나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배우 탕웨이 수지 박보검 공유 정유미 최우식 등 출연진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터뷰①] ‘원더랜드’ 탕웨이 “♥김태용 감독과 작업 행운이죠”배우 탕웨이(44)가 ‘원더랜드’에서 남편 김태용 감독과 작업한 소감을 밝혔다. 3일 오후 서울 삼청동 카페에서 영화 ‘원더랜드’에 출연한 탕웨이의 인터뷰가 진행됐다. 5일 개봉하는 ‘원더랜드’는 죽은 사람을 인공지능으로 복원하는 영상통화 서비스 원더랜드를 통해 사랑하는 사람과 다시 만나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김태용 감독이 ‘만추’(2011) 이후 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태용 감독의 장기 십분 발휘, '원더랜드'가 택한 전략[미리보는 영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남편은 못말리는 딸바보”...탕웨이가 직접 털어놓은 김태용 감독‘원더랜드’ 주연 탕웨이 인터뷰 극중 어린 딸에게 죽음 숨기려 AI로 자신 복원 의뢰한 엄마役 가상 세계서 가족의 의미 그려 김태용 감독과 결혼 후 첫 협업 “끊임없이 공부하는 모습 존경 아빠로서는 못 말리는 딸 바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문제 유형 풀이만으로는 한계...아이 뇌 세계 최고 수준으로 만들어주려면 [공부 뇌 만들기 프로젝트]자녀가 최상위그룹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때면 제일 좋고, 늦어도 중학교 때는 어느 정도 기본기를 잡아줘야 할 공통역량이 있습니다. 지난 글에서 말씀드린 생각의 차원을 높여서 생각하는 힘을 키워주는 다차원적 사고 외에 한 가지가 더 있는데 그것이 바로 구조적 사고(structural thinking)입니다. 구조적 사고를 훈련시키는 것은 마치 아이 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쌀알보다 작은 뇌조직에 10년 매달려...‘인간 뇌 지도’ 그렸다미국 하버드대-구글 연구진 3차원 지도 그려 “발달장애 등 의학적 뇌 연구에 도움되기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