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앤 나폴리타노의 네 번째 장편소설이다. 출간되자마자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에 올랐으며 오프라 북클럽의 100번째 도서로, 각종 매체에서 올해의 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출판사 책소개에 따르면, 소설가 김영하 작가는 이 책에 대해 '사랑하는 모든 이가 지상에서 사라졌을 때 다시 읽게 될 것 ...
출판사 책소개에 따르면, 소설가 김영하 작가는 이 책에 대해"사랑하는 모든 이가 지상에서 사라졌을 때 다시 읽게 될 것 같은 소설"이라고 말했다. 오프라 윈프리는"너무 빠져들어 빨리 읽고 싶은 동시에 책장을 넘기는 속도를 늦추고 싶었다. 정말 좋은 책을 읽을 때만 느끼는 감정이었다"라고 했다고 한다.엄청난 찬사가 아닐 수 없다. 그런데 나 역시 이 책을 올해의 인생 책 1호로 삼는데 조금의 주저함도 없었다. 읽고나면 무조건 소장하고 싶어지는 책이다.이 소설의 키워드를 다섯 단어로 요약하자면, 가족, 사랑, 변화, 용서, 성장이다. 다시 말해서, 가족을 둘러싼 30년 간의 사랑과 슬픔, 관용과 화해를 그린 소설이다. 현대판 같다는 생각을 했다.
이 소설 속에는 네 자매와 한 남자가 등장한다. 네 자매 모두에게 서로 다른 애정을 느끼면서 읽었다. 네 자매는 닮은 듯 닮지 않은, 한 사람의 각기 다른 버전인 것처럼 느껴졌다. 줄리아, 실비, 에멀라인, 세실리아 그리고 윌리엄.읽는 내내 소설 속 등장인물들에 공감하고 연민하고 이해하는 것과 더불어 작가 앤 타폴리타노의 문장에 계속 감탄 또 감탄했다. 작가의 문장은 굉장히 유려하고, 예리한 통찰력을 가지고 있으면서 매우 아름답다. 독자들은 작가가 표현하는 은유에 완전히 매료당한다. 어떤 강력한 힘에 의해 끌려가듯 문장 속으로 빠져들게 된다.소설의 흐름을 이끌고 가는 가장 큰 주제는 '사랑'이다. 그러나 독자들은 소설 속에 등장하는 몇 가지 사랑이 사회 통념에서 조금 벗어난 사랑이라고 느낄 수도 있을 것이다. 나도 그랬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사랑이 너무나 이해가 되어서 반박할 수도, 거부할 수도, 비난할 수도 없었다.소설 은 단 한 페이지도, 단 한 문장도 놓치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내게는 완벽한 소설이었다. 정말 오랜만에 문학으로 향유할 수 있는 충만한 감정을 이 책을 읽으며 느꼈다. 소설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무조건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은 책이다.'그의 내면이, 그의 자아가 연필 끝처럼 좁아진 기분이었다. 모든 색과 선이 사라졌다.
은 슬픔도 사랑, 미움도 사랑, 이해도 사랑, 연민도 사랑, 용서도 사랑, 어쩔 수 없이 잘라내는 것도 사랑, 받아들이는 것도 사랑, 힘겹게 말을 건네는 것도 사랑, 모든 것이 사랑과 연결된다고 믿게 되는 소설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40대 의원이 女와 한 침대에 ‘발칵’…알고 보니 이것 이용한 협박지방의회 의원들을 상대로 한 ‘딥페이크 불법 합성물’ 피해가 전국적으로 확산하자 경찰이 광역 수사에 돌입했다. 17일 경찰청에 따르면 이달 서울, 인천, 부산, 광주, 대구 등의 기초의원 소속 30명이 딥페이크 협박 메일을 받고 경찰에 신고했다. 이에 서울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 등 각 지방청이 수사에 착수했다. 경찰 관계자는 “동일 조직 소행인지 등을 현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넌 한국여행 제대로 안했구나”…한강서 ‘이것’ 해야 ‘힙’한 관광 인정받는다고?한강 라면 ‘힙’한 관광코스로 CU·농심 등 라면특화 매장 인기 라면조리기 제조사 해외수출 대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유태 기자의 책에 대한 책] '서점에선 단 한 걸음만으로 지형, 지명, 시간이 바뀐다'현실과 현실 너머를 동시에 품는 서점에 관한 깊은 사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책 읽는 온 가족'을 넘어 '책 읽는 온 세상' 만들자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감 정근식)은 9일 오후 1시 서울 종로구 소재 정독도서관 야외 정원에서 학생, 학부모, 서울시민, 교육계 인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 12회 '온 가족 책 잔치'를 개최했다. 한강 작가의 노벨상 수상으로 그 어느 때보다 독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행사장은 2백여 명이 참석하여 성황을 이루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책 버리는 도서관…그 뒤엔 ‘책 읽지 않는 국민’[크리틱] 김영준 | 전 열린책들 편집이사 “도서관이란 완전한 관대함이다.” 볼라뇨는 말한 적 있다. “강제수용소가 인간의 최악을 상징한다면 도서관은 인간의 최선을 상징한다.” 한편 보르헤스는 “도서관은 무한하다”고 단언한다. “우주의 다른 이름이 도서관이기 때문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침을 열며]성장도 미래도, 기후대응에 달렸다현재에 대한 문제의식과 미래를 위한 실천 사이에 가장 괴리가 큰 문제를 꼽으라면 기후위기가 아닐까 생각한다. 기후위기로 인한 재앙을 막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