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대학가 가을 축제인 '2023 정기 고려대학교·연세대학교 친선경기대회'(고연전 혹은 연고전) 과정에서 본교와 분교 캠퍼스 간 갈등이 화두로 떠올랐다. 지난 4일 고려대 세종캠퍼스 총학생회가 '서울 캠퍼스에서 세종 캠퍼스 학생들을 차별한다'는 내용의 대자보를 서울과 세종 두 캠퍼스에 붙인 것. 세종캠퍼스 총학은 이 대자보에서 지난 5월 고려대 응원제인 '입실렌티'를 준비하면서 서울 캠퍼스 총학생회장이 세종캠퍼스 재학생을 '학우'가 아닌 '입장객'으로 표현했다고 주장했다.
지난 8일 오전 서울 양천구 목동야구장에서 열린 고려대·연세대 친선경기대회에서 고려대와 연세대 학생들이 열띤 응원을 하고 있다. 정기 고연전은 야구·농구·빙구·럭비·축구 5개 종목에서 두 대학 선수들이 겨루는 대회다. 고려대가 행사를 주최하는 해에는 연고전, 연세대가 주최하는 해에는 고연전이 정식 명칭이다. 뉴스1
대표적인 대학가 가을 축제인 '2023 정기 고려대학교·연세대학교 친선경기대회' 과정에서 본교와 분교 캠퍼스 간 갈등이 화두로 떠올랐다. 본교와 분교 간 갈등은 대학가에서 해묵은 논쟁거리인데, 이번에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이다.이 표현은 각각 원주시에 있는 연세대 미래캠퍼스와 세종시 조치원읍에 있는 고려대 세종캠퍼스를 비하하는 의미로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사용되는 표현이다.고려대 재학생과 졸업생이 이용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고파스'의 익명게시판에서도 지난 5일 '세종은 왜 멸시받으면서 꾸역꾸역 기차나 버스 타고 서울 와서 고연전 참석하려는 것임?'이라는 글이 올라왔다.
일부 학생들의 이런 태도를 두고 온라인상에선 갑론을박이 벌어졌다."차별과 혐오는 어떤 이유에서든 옳지 않은 것","현대판 계급주의"란 비판적 의견도 존재하는 반면,"입학 성적부터가 천지 차이이므로 이름만 같고 아예 다른 학교나 다름이 없다","오히려 분교 캠퍼스가 본교와 같은 대우를 받으려 한다면 그것이 역차별"이란 의견도 있다.고대 세종캠 총학"입실렌티 '입장객'? 우리도 '학우'" 한편 분교 캠퍼스를 본교와 구분 짓고 차별하는 입장을 드러내는 일부 본교생들에 대해 분교생들도 맞불을 놨다. 지난 4일 고려대 세종캠퍼스 총학생회가"서울 캠퍼스에서 세종 캠퍼스 학생들을 차별한다"는 내용의 대자보를 서울과 세종 두 캠퍼스에 붙인 것.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돌아온 천재' 강백호, 드라마 같은 '대타 만루홈런' 폭발[프로야구] kt, 강백호 만루홈런 앞세워 SSG 대파 '2위 굳히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커지는 '소득대체율 인상' 요구...국민연금 개혁안 갈등 계속[앵커]국민연금 개혁안의 밑그림이 공개된 가운데, 개혁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400m 헤엄쳐 사람 살린 해경...석유선 폭발 화재때도 맹활약한밤중에 바다를 헤엄쳐 익수자를 구조한 해양경찰관이 울산 석유선 화재 사건 때도 활약한 영웅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바로 울산해양경찰서 기장해양파출소 소속 구조대원 박철수(37·남) 경사다. 10일 울산해경과 중앙일보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0시 30분께 부산시 기장군 기장읍 연화리 오랑대 앞바다에 사람이 빠졌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울산해경은 현장으로 경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화웨이발 미·중 갈등, 애플 신형 아이폰으로 번지나이번 주 출시 예정인 애플의 신형 스마트폰 아이폰15 시리즈 생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에 대해 지난 8일(현지시간) '애플이 테크 업계의 왕이기는 하나 미·중 경제 전쟁에선 하나의 ‘체스판 말’에 불과하다'고 진단했다. WSJ는 '중국은 애플의 가장 큰 제조 기지이며, 아이폰은 애플의 가장 큰 사업으로 매출의 52%를 차지하고 있다'며 '이는 역설적으로 애플을 미·중 경제 전쟁에서 상대적으로 쉬운 목표로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그렇게 살지 마세요”…‘대전 교사 사망’ 가해 부모에 분노 폭발악성 민원에 시달리다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알려진 대전 초등 교사 사망 사건의 가해 학부모로 지목된 이들에게 비난의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전일 맘카페 등 온라인커뮤니티에서 가해 학부모들이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사업장 두 곳에 대한 정보가 공유되며 불매 움직임이 일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들은 “무조건 불매요. 평소에 종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체스의 졸 취급받은 애플...기업가치 2000억 날린 이유가WSJ “애플은 경제전쟁에선 게임 조각에 불과” “미·중 갈등 가장 큰 볼모가 다름아닌 애플” 中 사용금지령 내린 후 기업가치 2000억 증발월스트리트저널(WSJ)은 9일(한국시간) 미·중 무역 전쟁이 격화하면서 아이폰 제조업체 애플이 “미·중의 가장 큰 볼모(Pawn·체스의 졸)가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WSJ은 “애플은 테크 업계 왕일지는 몰라도 세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