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세 이전 스마트폰 과다 노출, 소아 발달 지연에 큰 영향'
김길원 기자=요즘 아이들은 영유아기부터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미디어 기기에서 눈을 떼지 못한다. 영유아를 위한 영상 콘텐츠 플랫폼이 워낙 발달한 데다 알고리즘에 의한 콘텐츠 추천기능이 아이들이 좋아하는 콘텐츠를 반복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이다.한림대동탄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성구 교수 연구팀은 2013∼2019년 사회성 발달 지연으로 치료받은 영유아 96명과 발달 지연이 없는 대조군 10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30일 밝혔다.이 결과 사회성 발달 지연 군에서는 만 2세 이전에 미디어를 시청한 비율이 95.8%에 달했지만, 대조군은 59.4%에 그쳤다.미디어 시청 때 보호자 동반 여부도 차이가 있었다.사회성 발달 지연 군에서는 아이 혼자 미디어를 시청한 비율이 77.1%였지만 대조군은 이런 비율이 38.6%였다. 시청 프로그램의 유형에서도 영어과 동화 등의 교육 프로그램을 시청한 비율이 사회성 발달 지연군보다 대조군에서 높았다.
사회성 발달 지연군에서는 아이에게 미디어를 시청하도록 한 이유로 '부모의 우울·건강문제·맞벌이', '아이 달래기' 등을 주로 꼽았다. 반면 대조군은 이런 답변이 각각 41.3%, 7.4%로 적은 편이었다.실제 뇌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관찰연구에서는 영유아의 미디어 노출이 인지과정보다 단순히 시각피질만 자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람과의 상호작용은 뇌 발달을 훨씬 더 활성화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김성구 교수는"어린 나이에 긴 시간 미디어에 노출되면 부모와 소통하고 상호작용하며 창의적으로 놀 수 있는 시간이 줄게 된다"면서"유아의 기억력, 주의력, 인지력의 한계와 미디어의 일방향성으로 인해 뇌 발달 민감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사회성 발달을 저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발달 지연 아이의 경우 부주의하고 지나치게 활동적으로 행동하기 때문에 부모들이 양육에 어려움을 겪고, 미디어 노출이 더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며"이때는 영유아가 미디어를 시청하더라도 보호자와 함께 상호교류 속에 제한된 시간만 교육적인 프로그램을 시청하도록 하면 사회성 발달 지연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조언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두산 '투목곰' 김동주의 다짐 '선배 기록에 걸맞은 선수 되겠다'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이대호 기자=프로야구 두산 베어스에는 세 명의 '김동주'가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섬진강변이 환금작물 지대로 변하고 있다섬진강변이 환금작물 지대로 변하고 있다 섬진강 오문수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떠오르는 경기국제공항] ②군공항 이전 예비후보지 화성시 술렁 | 연합뉴스(화성=연합뉴스) 최해민 기자=수년 간 지지부진하던 수원 군공항 이전 문제가 경기국제공항 건설계획과 맞물려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챗GPT 영향 많이 받는 직업은 회계사·수학자·통역사 등' | 연합뉴스(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챗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이 회계사, 수학자, 통역사, 작가 등의 직업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내수대책] 국제항공노선, 코로나 이전 90%까지 회복…관광객 불러들인다 | 연합뉴스(세종=연합뉴스) 박초롱 기자=정부가 29일 발표한 내수 활성화 대책에는 외국인 관광객을 늘리기 위해 국제항공 노선을 조기에 증편하는 계획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총리 '과도한 재정부담 법안엔 원칙대응' 양곡법 거부권 수순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이준서 기자=한덕수 국무총리는 29일 '과다한 재정 부담을 야기하는 등 미래세대에 큰 부담이 되는 법안에 대해서는 원칙에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