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지옥' 바다 살리기 플라스틱 감축 협상 부산서 결론 낼까

플라스틱생산량 뉴스

'쓰레기 지옥' 바다 살리기 플라스틱 감축 협상 부산서 결론 낼까
유엔플라스틱플라스틱오염협약대응
  • 📰 hankookilbo
  • ⏱ Reading Time:
  • 29 sec. here
  • 11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46%
  • Publisher: 59%

전 세계 바다를 엉망으로 만든 해양 쓰레기의 83%는 플라스틱 재질이다. 어부들이 쉽게 버리는 나일론 그물과 폴리프로필렌(PP) 등 합성섬유로

콧구멍에 플라스틱 빨대가 박혀 피 흘리는 바다거북, 배 속에 찬 쓰레기 탓에 죽은 향유고래. 먼바다 해양 생물들의 비극은 뉴스를 통해 잘 알려졌죠. 우리 바다와 우리 몸은 안전할까요? 한국일보는 3개월간 쓰레기로 가득 찬 바다를 찾아다녔습니다. 동해와 서해, 남해와 제주에서 어부와 해녀 63명을 만나 엉망이 된 현장 얘기를 들었고, 우리 바다와 통하는 중국, 일본, 필리핀, 미국 하와이를 현지 취재했습니다. 지옥이 된 바다. 그 가해자와 피해자를 추적했습니다.전 세계 바다를 엉망으로 만든 해양 쓰레기의 83%는 플라스틱 재질이다. 어부들이 쉽게 버리는 나일론 그물과 폴리프로필렌 등 합성섬유로 만든 옷, 일회용 커피잔이나 페트병 등이 모두 플라스틱이다.

문제는 디테일이다. 국가별로 플라스틱 생산을 둘러싼 이해관계가 달라 쉽사리 합의를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오는 11월 부산에서 열리는 정부 간 협상위원회 마지막 회의가 이견을 좁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유엔 플라스틱 협약' 초안의 주요 쟁점. 그래픽=이지원 기자핵심 쟁점은 '플라스틱 생산 제한'과 '폐기물 관리 강화' 중 어떤 쪽에 힘을 줄 것이냐다. 유럽연합은 생산량을 못 줄이면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고 본다. 반면, 산유국과 플라스틱 제품 생산국들은 폐기물 관리만 제대로 하면 해양 오염을 충분히 막을 수 있다는 입장이다. 미국, 일본,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등 힘 있는 국가들이 재활용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플라스틱 오염을 끝내는 목표 연도를 두고도 합의 문서에 당장 적시하기보다는 신중하게 고민해 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환경단체들은 전 세계 플라스틱의 99%가 석유에서 생산되고 있는 만큼, 한국 정부가 국내 석유화학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의식해 협약을 약화시키려 한다고 비판한다."적극 대응해야 산업적 기회도 온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kookilbo /  🏆 9. in KR

유엔플라스틱 플라스틱오염 협약대응 세계플라스틱 중국 플라스틱협약 플라스틱제품 플라스틱자체 국제플라스틱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전자레인지 속에 박테리아가 산다…정기적 청소·소독 필요''전자레인지 속에 박테리아가 산다…정기적 청소·소독 필요'(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미생물은 극한 환경을 극복하는 강한 생존력을 지녔다. 산업혁명 후에는 해양 유출 기름이나 플라스틱 쓰레기, 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역별 분산에너지 확산 전력 수급 미스매치 해결''지역별 분산에너지 확산 전력 수급 미스매치 해결'이상훈 에너지공단 이사장태양광·ESS 활용으로 촉진해외 신재생사업 지원 확 늘려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할 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세아상역, 국내 의류섬유업계 최초 SBTi 넷제로 목표 승인 획득세아상역, 국내 의류섬유업계 최초 SBTi 넷제로 목표 승인 획득“2050년까지 온실가스 90% 감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소비도 남다르게...친환경 챌린지 빠진 MZ세대소비도 남다르게...친환경 챌린지 빠진 MZ세대플라스틱 덜 쓰는 친환경 소비 열풍 대체육·비건 매트리스 등 비건 라이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르포] '맥주병' 기자의 해상 생환훈련 체험기…'살려주세요'가 절로[르포] '맥주병' 기자의 해상 생환훈련 체험기…'살려주세요'가 절로(남해=연합뉴스) 김준태 기자=살면서 수영과는 인연이 없었는데 정신 차리고 보니 바다 한가운데 빠지기 직전이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독성 해파리 유입 역대 최대…해수욕장·어가 '몸살'독성 해파리 유입 역대 최대…해수욕장·어가 '몸살'(서울=연합뉴스) 전재훈 기자=독성 해파리인 노무라입깃해파리의 국내 바다 유입량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6 21:1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