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뉴스) 박재현 기자=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고 '그냥 쉬는' 사람이 1년 새 24만명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쉬었음' 청년 중 10명 중 3명은 원하는 일자리를 찾지 못해 쉬고 있다고 답했다.통계청은 6일 이런 내용을 담은 '경제활동인구조사 비임금근로 및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비경제활동인구는 만 15세 이상 생산 가능 연령 인구 중 취업자가 아니면서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사람이다.활동 상태별로 보면 가사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재학·수강 등, 쉬었음 순이었다.연령별로 보면 60대가 8만명 늘었고 70대와 20대도 각각 6만5천명, 5만4천명 증가했다.
통계청 관계자는"고령층 비경제활동 인구 중 활동 상태를 '연로'로 응답하는 사람이 줄어들면서 '쉬었음'을 비롯한 다른 항목의 응답이 늘었다"며"20대 '쉬었음' 증가는 기업 정기 채용 감소 및 경력직 선호 현상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청년층에서는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라는 응답이 30.8%로 가장 많았다. 비슷한 사유인 '일자리가 없어서'라는 응답도 9.9%로 조사됐다.2순위로는 30·40·50대는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 60대 이상은 '퇴사 후 계속 쉬고 있음'이라는 응답이 꼽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환경미화원 정년 65세로 늘리자…2030 '내 일자리 줄어든다' 반발곳곳서 일자리 세대충돌정부가 정년연장한 공무직청년들도 원하는 일자리구청 채용에 30%가 청년장년층 고용 10명 늘리면청년 일자리 11개 줄어들어2030 '국민연금 불만 큰데일자리까지 불이익은 안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비정규직 비중 3년 만에 증가…노인·여성 시간제 일자리 늘어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중이 3년 만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60대 이상 노인과 여성의 시간제 일자리가 큰 폭으로 확대된 영향이 크다. 전문가들은 이들이 일하는 단시간 일자리의 질적 악화를 우려하며 개선을 촉구했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24년 8월 경제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조 지원책에도 …'그냥 쉬는 청년' 18% 급증취업 단념 20대 1년새 41만명46개월만에 최대폭 늘어나9월 취업자 14.4만명 증가속건설업은 10만명 줄어 '한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 정도면 묻지마 주담대 아니야?”…이 은행, 1년만에 대출액 11조 급증올해8월 인뱅 3사 주담대 32.4조 1년새 47% 늘어난 11조원 급증 은행권은 동기간 8.9% 늘어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강서구 아니었어?”…서울 전세사기 최다지역 된 이 동네, 어쩌다가누적 피해주택 1334가구 강서구(1118가구)보다 많아 사기 취약한 청년층 주로 거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완섭 환경장관 “일회용컵 보증금제 포기 안해”환경부 출입기자단 기자간담회 지자체서 원하는 지원책 고려 행정규제 완화 검토해 독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