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응급실 뺑뺑이' 사고가 반복되면서 경증 환자가 응급실에 너무 많이 몰리는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경증 환자의 응급실 이용료를 올리거나 119를 유료화해야 한다는 주장 등이 나오는데, 국민의 인식 개선과 협조도 필수라는 지적입니다.신윤정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자]...
경증 환자의 응급실 이용료를 올리거나 119를 유료화해야 한다는 주장 등이 나오는데, 국민의 인식 개선과 협조도 필수라는 지적입니다.지난해 응급의료기관을 찾은 환자는 769만여 명.[김성중 / 중앙응급의료센터장 : 내 자식, 내 식구만큼은 큰 병원에서 진료를 봐야 된다는 의식이 좀 굉장히 강한 것 같습니다. 또 하나는 실손의료보험이라든가 이런 것이 참 잘 돼 있는 나라이다 보니까 실제로 응급실의 문턱이 비용적인 측면에서 굉장히 낮은 게 사실입니다.
][박민수 / 보건복지부 제2차관 : 권역센터라고 큰 종합병원 있지 않습니까? 여기에 경증으로 가는 경우에는 본인 부담을 강화했으면 좋겠다, 이런 건의가 있어서 이것들은 지금 현재 검토하고 있습니다.][이형민 / 대한응급의학의사회 회장 : 근본적인 원인은 이것이 무료이기 때문에… 개인적인 이유로 아니면 경증임에도 불구하고 119를 이용했을 때는 외국의 예를 들어서 그런 어떤 일정한 비율의 그런 비용을 매기게 된다면….]이에 따라 비응급 환자가 야간이나 주말에도 갈 수 있는 응급실 이외의 선택지를 늘리고,[이형민 / 대한응급의학의사회 회장 : 하루에 100명, 200명 이런 환자들을 그런 병원에서 잡아주게 된다면 과밀화 해결의 열쇠가 될 수 있다, 바로 이게 이제 어전트 케어 클리닉, 급성기 클리닉이라고 하는 개념이고요.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지하차도 완전 침수 1시간 지나서야 ‘코드0’ 발령한 경찰오송 지하차도 참사 사고 당시 경찰은 지하차도가 완전히 침수되고 1시간이 넘게 지나서야 최단시간 출동을 명령하는 사건코드 ‘코드0’를 발령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소방 인력 투입도 늦었는데, 침수 초기 물을 뺄 수 있는 펌프차량은 2대뿐이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뇌출혈 쓰러진 초등생 사망…유족 '학교, 119 신고도 안 했다' | 중앙일보교사에게 두통을 호소한 지 50분 만에 구급차를 탔습니다.\r초등학생 초등학교 뇌출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가요대축제' 일본 개최로 보는 KBS의 미래'가요대축제' 일본 개최로 보는 KBS의 미래 KBS 가요대축제 하성태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젊은 교사들의 '공분'‥앞으로 대책은?이번 사안을 보는 현장 교사들의 반응은 안타까움과 공감, 그리고 분노인 것 같습니다. 교육계의 격한 분위기, 그리고 앞으로의 대책, 교육부 취재하는 전동혁 기자와 더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교사들 추모의 발걸음 '황망하고 슬퍼'‥'교권 회복 대책 마련'젊은 교사의 안타까운 죽음에 많은 동료 교사들은 오늘도 추모의 발길을 이어졌습니다. 교육 당국은 경찰 수사와 별도로 직접 해당 초등학교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조사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