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혁신파크 방 빼라' 요구... 아직 할 일 많은데' 서울혁신파크 오세훈시장 초대형융복합단지 서울혁신센터 윤명화센터장 차원 기자
지난 26일 서울혁신파크 미래청 2층 서울혁신센터 사무실에서 만난 윤명화 센터장의 표정엔 상심이 가득했다. 현재로서 그는 2015년부터 이어온 서울혁신센터의 마지막 센터장이 될 가능성이 높다. 서울시가 서울혁신파크 부지에 60층 규모의 랜드마크 타워를 포함한 코엑스급 초대형 융복합도시를 건설할 계획을 밝히며 서울혁신파크는 내년 10월까지 '방을 빼'줘야 하기 때문이다. 수많은 입주기업들과 시민단체, 중간지원조직들이 하루아침에 설 자리를 잃게 됐다.
그렇게 2015년 처음 입주단체들을 모집했는데요. 당시에는 굉장히 상황이 열악했어요. 옛날에 실험실로 쓰던 건물들이고 하니, 냉난방도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았고요. 그런 환경에서 시작해 지금까지 8년 동안 저탄소 사업 1천여 개를 포함한 10만 개의 사업을 하고, 400만 명의 시민들과 함께하며 약 9억 6천만 원의 환경적 성과를 냈으니 대단한 일을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 평균 공원 이용객도 1천여 명이나 되고요."실제 혁신파크에는 그간 600여 개의 기업, 기관, 중간지원조직 등이 입주해 활동하며 다양한 혁신을 시도해왔다. 친환경 에너지 기술 개발,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교육, 노인들을 위한 치매 예방 그림 그리기 등 사업들을 만들어냈고 처음엔 비영리사업이 대부분이었지만 이제는 입주기업의 68%가 영리사업으로 경제적 가치와 일자리를 창출해내고 있다. 혁신파크라는 한 공간에 모여 있으니, 활발한 협업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작년 9월 오세훈 시장의"박원순 시장 시절 서울시가 시민단체 ATM기로 전락했다"는 발언도 단체들을 크게 위축시켰다. 오 시장에 따르면 10년간 1조 원이 시민단체로 갔다는 것인데, 윤 센터장은 이에 대해"대학 연구소에 지원한 돈까지 다 포함한 금액"이라며"1조 원이 시민단체로 들어왔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제가 시의원으로 있을 때 혁신교육지구 관련 조례를 통과시켰습니다. 학교와 지역사회에 적극적인 지원을 했죠. 그리고 지금은 지자체, 교육청이 함께하는 꽤 안정적인 구조가 만들어져 있습니다. 특히 강북에 자리한 구들의 경우 교육 환경이 혁신교육을 통해 상당히 좋아졌거든요. 아이들의 자존감이 이전에 비해 많이 높아지기도 했습니다. 학교 선생님과 지역 활동가들도 학생들을 위해 최선을 다할 수 있었고요. 그런데 이번 예산삭감으로, 이들이 이제 무슨 일을 할 수 있을까 싶습니다. 시민들이 함께 쌓아온 공든 탑이 무너지는 상황을 보니 있으니 정말 마음이 너무 아픕니다. 지역사회와 학생들이 가장 큰 피해자가 될 수밖에 없고요."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광주시교육청, 학교 밖 청소년 교육권 보장해야''광주시교육청, 학교 밖 청소년 교육권 보장해야' 광주_대안학교 광주시교육청 대안교육기관법 김동규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 지하철·버스 요금, 300원씩 오를 듯…8년 만에 인상 추진현재 서울시 지하철과 시내버스 기본요금은 각각 1250원, 1200원입니다. 지하철 시내버스 요금인상 🔽 자세히 읽어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서울시 간부방’, 이태원 참사 직후 책임 회피·자료 은폐 정황‘이태원 핼러윈 참사’ 당시 서울시 간부들이 모인 별도의 ‘모바일 상황실(간부방)’이 운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내년 서울 지하철·버스 요금 오른다...300원 인상 예상서울시 “정부 예산서 ‘무임승차’ 지원 제외...인상 불가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코로나가 판 바꾼다? '다낭 39만원' 그 싸구려 또 돌아왔다 | 중앙일보여행사들이 품질이 아니라 가격으로 과열 경쟁을 벌이는 모습이 재현되고 있습니다. \r해외여행 관광 다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태원참사 유가족 실신시킨 폭언, 어디서 시작됐나이태원참사 유가족 실신시킨 폭언, 어디서 시작됐나newsvop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