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윤석열내란사건을 묵시록에 빗대 용산을 사악한 용이 자리 잡은 곳으로, 비상계엄을 '지X발광'으로 비유한 김용태 신부의 유쾌발랄한 시국 강론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천주교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는 지난 9일 주교좌 대흥동 성당에서 10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시국기도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김용태(마...
천주교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는 지난 9일 주교좌 대흥동 성당에서 10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시국기도회를 개최했다.묵시록 12장 3절에는 머리 7개에 뿔 달린 용의 얘기가 나온다. 이를 보면 이 용은 사악한 마음을 가진 괴물들을 이끌며, 신앙심이 깊은 인간들을 괴롭히거나 타락시켜 사람들을 하느님에게서 떨어트려 놓으려 해 '악마', '사탄'으로 수록돼 있다. 용은 하늘에서 내쫓기지만 군대를 모아 전쟁을 일으킨다. 하지만 하느님이 내린 불에 삼켜져 순식간에 전멸하고, 용 역시 불과 유황의 바다로 떨어져 고통받는다."악마라고도 사탄이라고 하는 자가 땅에 떨어졌습니다. 그의 부하들도 함께 떨어졌습니다. 사악한 용이 자리 잡은 그곳을 우리는 용산이라고 부릅니다.""악마라고도, 사탄이라고도 하는 자가 12월 3일 밤에 지X발광하였습니다. 사전을 찾아보니 지X발광은 개X랄의 경북 방언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김 신부는"대명천지에 비상계엄이라니… 이는 친위쿠데타, 국민을 향한 반란이었다"라며"용산 이무기의 지X발광은 시민들의 용기와 계엄군 병사의 양심과 온 국민의 염원이 만나 몇 시간 만에 끝났다"라고 설명했다.김 신부는"내란수괴 윤석열과 그 공범들을 처벌한다고 해서 그게 끝이 아니다"라며"반란수괴 편에서 공범을 자처하는 국민의힘을 통합진보당 때의 기준으로 해산되도록 하고, 해체 수준의 검찰개혁과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그러지 않으면 지금 윤석열을 탄핵해도 제2의 윤석열, 제3의 윤석열이 등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신부의 이날 시국 강론은 기사로도 소개됐다. 이후 천주교대전교구 등이 이날 강론 내용을 유튜브 동영상으로 소개하면서 '시국미사 신부님 명 강론, 이것이 바로 지X발광 용산 이무기 시국 파탄' 제목으로 널리 회자하고 있다.오마이뉴스가 12.3 윤석열 내란사태와 관련한 제보를 받습니다. 내란 계획과 실행을 목격한 분들의 증언을 기다립니다. 제보자의 신원은 철저히 보호되며, 제보 내용은 내란사태의 진실을 밝히는 데만 사용됩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김용태 신부, 묵시록 비유로 윤석열 내란 사건 강론…'용산, 사악한 용이 자리잡은 곳'천주교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회 위원장 김용태 신부가 12월 3일 윤석열 내란 사건을 묵시록에 빗대 용산을 사악한 용이 자리 잡은 곳으로 비유하며 사전의 '지X발광'을 사용해 비상계엄을 표현하는 유쾌한 시국 강론으로 인기를 얻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로 국정 운영 위기윤석열 대통령은 비상계엄을 선포함으로써 국정 운영의 위기를 맞이했습니다. 비상계엄은 국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는 윤 대통령의 공약과는 달리, 국민들의 불만을 증폭시켰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에 여야, 비상계엄 해제를 위한 결의안 통과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자 여야가 즉각적으로 반응, 비상계엄 해제를 요구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이로 인해 비상계엄은 무효가 되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선포, 언론의 과거 보도와 대조적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였고, 이를 주요 언론은 과거에 '불가능하다'고 보도했습니다. 비상계엄은 6시간 만에 해제되었으나, 이 과정에서 위헌 요소가 드러났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비상계엄 선포 155분 만에 해제윤석열 대통령은 비상계엄을 선포했으나, 이는 헌법과 계엄법의 요건에 부합하지 않아 위헌 논란이 되었다. 비상계엄은 155분 만에 해제되었으며, 이는 국회와 시민들의 대응에 따른 결과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및 시민들의 저항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함으로써 국민들의 불안감이 고조되었다. 비상계엄은 1980년대 군부정권과 매우 유사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에 반발한 시민들과 국회의장, 국회의원들의 노력으로 비상계엄이 해제되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