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시가 민간위탁 방식으로 운영하던 서산시비정규직지원센터를 시 직영으로 전환하겠다고 통보하면서 절차적 정당성과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권익이 훼손됐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19일 오전 9시 30분 민주노총 서산시위원회(서태안위원회) 대표자들은 일부 민주당 서산시의원들과 간담회를 열고, 서산시의 직영 전환 통...
19일 오전 9시 30분 민주노총 서산시위원회 대표자들은 일부 민주당 서산시의원들과 간담회를 열고, 서산시의 직영 전환 통보에 대해"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신현웅 서산시비정규직지원센터장은"센터 운영비 약 2억 원을 절감한다는 이유로 시 직영으로 전환한다는 것은 궁색한 변명에 불과하다"며"현재 센터에서 근무 중인 비정규직 근로자 두 명이 직장을 잃게 된 상황에서, 센터가 비정규직 노동자를 내쫓는 형국이 되었다"고 비판했다.지난 9월, 서산시의회는 서산시비정규직지원센터의 민간위탁 동의안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서산시는 이를 뒤집었다. 또, 의회에 보고도 하지 않은 채 직영으로 전환하겠다고 일방적으로 통보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간담회에 참석한 시의원들은"의회를 무시한 행정"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일자리경제과 담당자는"11월 초 정책간담회에서 충분히 설명하려 했지만 일정 조율이 되지 않아 개별적으로라도 설명을 드리려고 했다"며,"예산상의 문제로 비정규직센터를 시가 직영하기로 결정했다"고 해명했다. 또한,"외국인근로자센터를 신사업으로 추진하면서 비정규직센터와 통합 운영 여부를 고민했지만, 예산 절감을 위해서 일자리경제과 팀장이 비정규직센터장을 겸직하고, 기존의 공무직 1명과 공무원 1명을 배치해 직영하기로 한 것"이라 밝혔다.또 다른 비정규직 노동자 B는"공무원들이 노동자들의 어려움을 얼마나 이해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센터는 단순한 상담소가 아닌 '우리의 편'이었다. 신현웅 센터장은 무보수로 헌신하며 부당노동행위와 싸워왔다. 비정규직도 서러운데 이제는 설 자리마저 없어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서산시의 갑작스러운 직영 전환 결정은 절차적 정당성을 의심받고 있다. 행정안전부 자치분권과는"자치사무인지 검토가 필요하며, 당사자가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하면 답변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충청남도 관계자 역시"서산시 감사담당실에 확인 요청을 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시민 C는"비정규직 노동자를 위해 노동단체가 해야 할 역할이 분명히 있다"며"시가 모든 것을 책임지겠다는 태도는 오만이며,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서산시대에도 실립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김학균의 쓰고 달콤한 경제]미국 신고립주의의 경제적 기원자국의 가치를 외부 세계에 투사하고자 하는 미국의 욕망은 현저히 약해지고 있는 것 같다. 경제적으로는 1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전쟁, 바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영상]반포대교 위 위태롭게 앉은 남자, 경찰과 닿으니 벌어진 일지난 16일 오후 8시 50분쯤 경찰에 신고가 접수됐다. “친구가 술을 엄청나게 마시고 혼자 한강으로 간 것 같다”는 자살 의심 신고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언주 '이대로 가면 나라 망할 것 같다, 조마조마'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윤 대통령을 향해 '대한민국에서 가장 심각한 내로남불의 대명사가 됐다'라고 비판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지난 2일 오후 5시부터 촛불행동 주최로 서울시청-숭례문대로에서 열린 '113차 촛불대행진 집회'에서 이같이 발언했다. 그는 앞서 오후 2시부터 서울역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숨진 특수학급 교사 카톡 보니 “1주일 29시수…죽어버릴 것 같다”최근 숨진 채 발견된 특수학급 30대 교사의 고뇌가 담긴 카카오톡 대화 내용이 공개됐다. 고인은 과밀학급과 특수학급 전일 분리수업, 장애 학생 행동문제, 학부모 민원, 과도한 행정업무, 관리자와 교육지원청의 책임성 부재 등을 호소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5일 전국특수교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AI로 숙련의 양극화 극심해져” VS “없어지는 만큼 새로 생겨나는 직업 많아”2025 디지털이코노미포럼 전문가들도 AI가 가져올 고용시장 변화에 대한 의견 갈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하드웨어 강한 한국에 AI는 기회 … 지금이 정부지원 골든타임'AI의 고백: 좋은 것, 못생긴 것, 예상치 못한 것' 세션미국·대만·韓 등 HW 강점공격적 기업 인수합병 필요AI 기술 발전도 선진국 중심기술규범 논의 적극 참여를윤리적 충돌도 잦아질 것오염된 알고리즘 경계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