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 정답 인정하라'...9급 공무원시험 오타에 수험생들 '시끌' | 중앙일보

대한민국 뉴스 뉴스

'복수 정답 인정하라'...9급 공무원시험 오타에 수험생들 '시끌' | 중앙일보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25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3%

9급 공채 한국사 과목에서 나온 ‘웅진전’이란 단어 때문입니다.\r공무원 9급 공채 오타

10일 인사혁신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정답 이의제기’ 게시판에 올라오고 있는 글이다. 지난 8일 치른 국가직 공무원 9급 공개경쟁채용시험 한국사 과목에서 나온 ‘웅진전’이란 단어 때문이다. 수험생들은 해당 단어가 혼란을 일으켰다며 “복수정답을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과 “기존 정답만을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나뉘고 있다.

“1번도 정답 해야” vs “단순 오타인데” 논란을 일으킨 건 ‘고려 시대 문화유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한국사 시험 8번 문항이다. 의도된 정답은 2번 선지인 ‘월정사 팔각 9층 석탑은 원의 석탑을 모방해 제작했다’이다. 월정사 팔각 9층 석탑은 원나라가 아닌 송나라 영향을 받았다는 이유에서다. 그런데 이 문항 1번 선택지는 ‘황해도 사리원 성불사 웅진전은 다포 양식 건물이다’로 돼 있었다. 여기서 ‘웅진전’은 ‘응진전’ 오타다. 한국사 시험 13번 문항을 두고도 수험생 반응이 엇갈린다. 해당 문제는 본문을 읽고 박정희 전 대통령을 유추해 ‘ 집권해 추진한 사실’을 고르도록 했다. 이를 두고 박 전 대통령이 대통령으로 당선된 1963년을 기준으로 봐야 하는지, 5·16 군사정변을 기준으로 봐야 하는지를 두고 수험생들 사이에 갑론을박이 일고 있다.2023년도 국가공무원 9급 시험 한국사 13번 문항. [자료 인사혁신처 제공]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9급 공무원 한국사 시험에 오타…수험생 '복수정답 인정하라' | 연합뉴스9급 공무원 한국사 시험에 오타…수험생 '복수정답 인정하라'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한혜원 기자=지난 8일 치러진 국가직공무원 9급 공채 한국사 시험 문항에서 어처구니없는 오타가 발생해 수험생들로부터 복수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소름 돋는다'...마약음료 만든 곳, 초등학교 100m 옆이었다 | 중앙일보[단독] '소름 돋는다'...마약음료 만든 곳, 초등학교 100m 옆이었다 | 중앙일보평범한 가정집에서 마약 음료를 제조했습니다.\r강남 마약 음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홍준표 '정치 초보 윤 뽑고 '삼김 정치' 해달라는 건 난센스' | 중앙일보홍준표 '정치 초보 윤 뽑고 '삼김 정치' 해달라는 건 난센스' | 중앙일보윤 대통령의 '정치 경험 부족' 비판과 관련해 이런 주장을 펼쳤습니다.\r홍준표 윤석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97억에 팔린 차 번호판 '두바이 역대 최고가'…숫자 뭐길래 | 중앙일보197억에 팔린 차 번호판 '두바이 역대 최고가'…숫자 뭐길래 | 중앙일보자릿수가 적을수록 왕족, 정부의 고위급 인사나 부유층이 소유한 차를 뜻합니다.\rUAE 두바이 자동차 번호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생방중 전화 끊은 홍준표 '계속 한동훈 질문만 한 건 무례했다' | 중앙일보생방중 전화 끊은 홍준표 '계속 한동훈 질문만 한 건 무례했다' | 중앙일보한 라디오와 전화 인터뷰 중 끊어버린 것에 대해 '그런 일이 생긴 것은 유감'이라고 말했습니다.\r홍준표 라디오 인터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과 5개, 사탕 1봉지 슬쩍…배고픈 '노인 장발장' 자꾸 는다 | 중앙일보사과 5개, 사탕 1봉지 슬쩍…배고픈 '노인 장발장' 자꾸 는다 | 중앙일보노인 절도 범죄 증가와 함께 눈에 띄는 현상은 1만원 이하 소액 절도 건수가 늘었다는 점입니다.\r노인 절도 범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8 10:2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