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망사고 유가족 5일 오후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
군사망사고 유가족들이 5일 오후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를 항의 방문해 김용원 군인권보호관의 사퇴를 촉구했다. 지난 7월 경북 지역 집중호우 실종자 수색작전 중 순직한 채 상병 사건과 관련해 수사 외압 정황을 폭로한 전 해병대 수사단장 박정훈 대령의 긴급구제 신청을 인권위가 기각한 것에 대한 항의 차원이다.군인권보호관은 육군 28사단 집단 구타 사망 사건, 공군 20전투비행단 성폭력 사망 사건 등을 계기로 지난 2022년 7월 인권위 내에 만들어진 군 인권문제 전담 기구다.
이후 군인권센터가 긴급구제 신청 기각에 외압이 있었다는 의혹을 제기하자, 김 군인권보호관은 자신의 명예를 훼손했다면서 군인권센터와 임태훈 소장을 상대로 5천만 원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김 보호관은 건강 문제 때문에 부득이하게 회의에 참석하지 못했다는 입장이다.28사단 집단구타 사망 사건 피해자 고 윤승주 일병의 어머니 안미자씨는"지난 8년 동안 군인권보호관 제도를 만들기 위해 군 사망 유가족들이 국회를 내 집 드나들 듯 찾아다녔다"라면서"우리가 겪은 슬픔, 우리가 군에 속았던 일들을 다른 사람들이 겪지 말았으면 하는 절박한 마음 때문이었다"라고 성토했다.
윤 일병의 매형 김진모씨는" 엄정하게 수사한 전 해병대 수사단장을 항명죄로 몰아놓고 죄를 덮어씌우고 엄청난 일을 저지르고 있는데 군인권보호관은 긴급구제신청을 받아들여서 박 대령을 보호하기는커녕 군인권보호회의에 참석도 안 하는 직무 유기를 했다"고 김 보호관을 비판했다.고 홍정기 일병 어머니 박미숙씨 역시"공정하게 수사한 사람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는 국가라면 우리는 아들들을 군에 보낼 이유가 없다"라며"그나마 실낱 같이 잡고 있는 군인권센터를 고소·고발한다면 국가의 존재 이유는 어디에 있느냐"고 꼬집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군인권보호관, 군인권센터 손해배상 소송 제기...'근거 없는 외압 의혹'군 인권보호관인 김용원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이 허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영장 기각' 前 해병대 수사단장, 국방부 검찰단 출석불구속 수사를 받게 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이 오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계곡 살인’ 이은해 남편 사망보험금 8억원 청구 소송 기각‘계곡 살인사건’으로 무기징역을 선고 받은 이은해(32)씨가 숨진 남편 몫의 보험금을 달라고 보험사를 상대로 낸 소송이 법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해병 박 대령 영장 기각, 국조·특검으로 ‘권력 외압’ 밝혀야‘해병대 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 뒤 ‘항명’ 등 혐의로 국방부 검찰단에 입건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의 구속영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박정훈 대령 영장 기각, 그만 재갈 물리고 외압·진실 밝히라국방부 검찰단이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을 수사한 박정훈 전 수사단장(대령)에 대해 항명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강제동원 공탁 이의신청도 줄줄이 기각...'시간만 소모' 비판도[앵커]정부가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문제 해결책으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