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식한 철종은 편견... 농민을 더 걱정하고 고민한 왕' 이경수 강화도령 용흥궁 철종 최진섭 기자
강화가 고향인 이 작가는 이 책 외에도 13권의 역사서를 출간했다. , 처럼 '강화'를 주제로 한 책이 대다수다. 이번에 출간한 도 부제 '강화도령 이원범의 삶과 그의 시대사'라는 부제가 보여주듯 강화와 연관성이 많은 책이다.
생가 바로 위아래에 고려궁지와 용흥궁을 끼고 살던 이 작가는 사범대로 진학해서 역사 교사가 되었고, 1989년 경남 마산중앙고에서 처음 교편을 잡았다. 학생들은 강화가 고향인 역사 교사에게 '강화도령'이라는 별명을 지어주었다. 1993년 김포 양곡고로 옮겼으며 2017년 명예 퇴직할 때까지 이곳에서 역사 교사로 근무했다. "강화나들길 14길이 '강화도령 첫사랑 길입니다. 용흥궁에서 –찬우물약수터 –철종외가를 잇는 11.7킬로미터의 길이죠. 영화 에서도 이 약수터가 언급됩니다. 그런데 이건 어디까지나 스토리텔링이에요. 스토리텔링으로 꾸며낸 이야기가 역사인 척 말해지고 그게 사실인 것으로 기록되고 홍보되는 건 문제죠. 물론 스토리텔링은 잘 활용해야죠. 그렇지만 이것이 실제 역사가 아니라는 사실은 분명히 밝혀줘야 합니다."강화도령 하면 '일자무식', '나무꾼'이라는 편견도 있다. 이는 실제와 얼마나 부합하는 말일까. 이 작가는 철종이 강화도령 시절 나무꾼으로 일했다는 기록은 어디에도 없다고 말한다. 그리고 공부가 깊지는 않았을지라도 일자무식이라는 건 터무니없는 억측이며 사료를 통해 보건대 유배 시절에도 기본적인 한학은 익힌 것으로 나온다.
그러나 수년이 지나자 않아 정사를 펼치는 데 문제없을 정도로 진도를 나간다. 1849년 경연에서 을 한 것을 시작으로, 1850년 , , 을 떼고, 1851년에 를 끝낸다. 1853년에 , 1854년에 , , 등을 읽었다. 철종에 대한 혹평은 세간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역사 교과서 속에서도 조선 시대 가장 무능한 왕으로 철종을 꼽았다. 철종 시기는 안동김씨 세도정치와 삼정의 문란으로 백성이 도탄에 빠진 시기라는 것이다. 그러나 의 기록을 보면 철종의 백성을 위하는 마음을 엿볼 수 있는 글이 쉽게 눈에 띈다. 철종은"방백과 수령 가운데 탐오함이 가장 극심한 자는 침실의 벽에 다 써 놓았"을 정도로 백성을 수탈하는 탐관오리를 척결하려는 의지가 높았다. 이처럼 철종실록이나 사료를 보면 철종의 애민정신을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점에 관해 이 작가에게 물어보았다."철종은 탐관오리를 색출해서 처벌하는 일에 힘을 기울였습니다. 암행어사 파견도 다른 왕들에 비해 자주 했어요. 그러나 당시 삼정의 문란은 부패한 권력 구조 속에서 근본적인 해결을 기대하기 어려웠죠.""거의 없어요. 보통 철종 시기를 거치면서 조선이 망국으로 기울었다고 가르치죠. 개인적으로는 영조, 정조 시기의 붕당정치에 비해 세도정치시기를 더 나쁘게 묘사한 점도 있지 않을까 그런 생각은 해봅니다. 다른 임금들의 관심이 주로 양반 사대부에게 있었다면 철종은 농민의 삶을 더 걱정하고 고민했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구치소의 왕'…재소자들 벌벌 떨게 한 격투기 선수'A씨는 말을 듣지 않으면 다른 재소자에게 때리게 하는 방법으로 괴롭혔다' 구치소 재소자 격투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콜센터 직원 7명이 사라졌다...멕시코 뒤집은 '가방 45개' | 중앙일보교외 계곡에서 인체의 일부가 담긴 가방 45개를 발견했다고 발표했습니다.\r멕시코 과달라하라 가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젤렌스키 '대반격 준비됐다... 전사자 많겠지만 성공할 것'젤렌스키 '대반격 준비됐다... 전사자 많겠지만 성공할 것' 우크라이나 러시아 볼로디미르_젤렌스키 윤현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부러진 팔다리 보였다'...인도 열차 충돌, 200여명 사망 | 중앙일보최소 207명이 숨지고 900명이 다치는 참사가 발생했습니다.\r인도 여객열차 사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집중취재M] '아이 연명치료 중단 결정을 가해 부모가'‥아동학대가정에서 학대받는 아동을 신속하게 보호하기 위해서, 아이를 가족으로부터 즉각 분리하는 제도가 시행이 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학대 현장을 벗어난 이후가 더 문제였는데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