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이른바 '먹통 사태'로 인해 소비자들의 이용률이 급감했지만 최근 들어 지난해 수준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13일 업계와 모바일인덱스 등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준 채팅 어플리케이션인 카카오톡의 1인당 하루 평균 사용시간은 32.18분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평균 이용 시간인 33.3분과 크게 차이가 없는 수치다. 일간 활성이용자 수는 지난해 약 3700만명에서 지난 10월 15일 화재 당시 약 3400만 명으로 감소했다.
지난 9일에는 약 3500만명으로 집계되면서 두달 간 반등 추세를 보였다.카카오T는 지난해 평균 사용 시간은 5.22분이었지만, 화재 당시엔 2.87으로 급격히 감소한 바 있다. 그러나 지난 9일 기준 1인당 평균 사용시간은 4.62분으로 늘었다. 지난해 라인의 1인당 평균 사용시간은 12.42분이었는데, 지난 9일 기준 12.57분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데이터센터 화재 당시에도 11.95분으로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 8MW 해상풍력발전시스템 국제인증 취득두산에너빌리티, 8MW 해상풍력발전시스템 국제인증 취득 두산에너빌리티 해상풍력발전 윤성효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연합뉴스 포함 통신사 서비스 이용률 떨어지는 국회 구독 예산은 증액국회가 연합뉴스 등 뉴스통신사 구독료 서비스 이용률이 떨어지는데도 해당 언론사에게 지급하는 구독료 명목 예산 증액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월 홍준표 대구시장이 연합뉴스에 지급하는 불필요한 예산이라는 취지라 삭감하겠다고 발언해 주목을 받은 가운데 국회는 뉴스통신사 4곳에 총 18억 원 이상을 지급하고 있고 최근 일부 의원들이 1억2000만 원 증액을 요청했다.당시 홍 시장은 대구시가 ‘단말기 구독료’ 명목으로 1억 원 가까이 연합뉴스에 세금을 쓰고 있는데 “공무원들이 이를 컴퓨터로 찾아보는 사람이 아무도 없어서 구독료 납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