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공동체 지원조례 폐지는 민주주의 가치 훼손' 오세훈 서울시마을공동체활성화지원조례폐지반대 예산삭감 마을공동체활성화지원조례 서울시의회 여미애 기자
서울시마을공동체조례는 서울시민의 뜻에 따라 2012년 3월에 제정되어 10년간 서울시민의 마을공동체활동을 지원하는 근거였다. 서울시 마을공동체 지원조례는 지난 10년간 1만 여 건에 이르는 사업을 통해 13만 명 이상의 서울 시민의 참여를 이끌어냈으며 '함께 돌봄'과 '함께 성장'을 실천하며 모두에게 안전한 마을, 누구나 존중받는 마을, 이웃과 함께 오래도록 살고 싶은 마을을 만들어 왔다.
기자회견에 참여한 조정해씨는"2014년 서울시 마을공동체 지원사업에 참여하면서 품앗이 육아활동을 시작했다. 2015년 서울시 공동육아 지원사업에 선정되면서부터 양육하는 가정과 맞벌이 가정이 함께 아이들을 자연에서 뛰어놀게 하고, 더불어 양육자들의 성장도 이뤄냈다"면서 서울시의회의 결정을 비판했다. 이어 홍수만씨는"마을공동체 지원조례 폐지는 우리가 쌓아온 민주주의 가치의 훼손"이라며 서울시의 일방적 조례 폐지를 비판했다."더 이상 지역에서 활동하고 서울의 공동체를 복원하기 위해 노력하는 시민을 욕보이지 말아달라" 고 밝혔다.코로나19 시기 마을공동체의 필요성은 절실했고 팬데믹 시대에 시민의 고립과 단절에 대한 우려는 커졌지만, 시민들은 마을공동체의 힘으로 극복해나갔다. 그런데 시장이 바뀌자 10년간 유지해온 마을공동체 사업을 축소해버리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끝으로 기자회견에 참여한 이들은 입법예고에 반대의견을 제시한 1145명의 시민과 1만의 반대 서명운동을 해주신 시민의 뜻을 전달했다. 이들은 마을공동체의 가치를 폄훼하고 관련 종사자들을 일거에 해고한 오세훈 서울시의 정치편향적 태도를 좌시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을 쓴 여미애씨는 여미애 오23 운동본부 언론팀장, 시민단체 ‘너머서울’ 집행위원입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예산삭감 강행하면, 서울 공공돌봄은 사라질 것''예산삭감 강행하면, 서울 공공돌봄은 사라질 것' 공공운수노조 서울시사회서비스원 돌봄노동자 서울시의회 서울시 김호세아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법 위의 알고리즘? 노동자의 권리는 민주주의 문제' - 오마이뉴스'신기술로 새롭게 생겨난 업무를 담당하는 노동자에게 노동자로서의 권리를 인정해줄 것인지 여부는 진보, 보수를 가릴 문제가 아니다. 민주주의냐 아니냐의 문제다. 사회가 노동자의 권리는 내다버린 채 기술 발전만 추종하고 있을 수는 없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6시간 운전 뒤 4시간 자는 화물노동자, 그래도 귀족인가''이번 재난은, 약속을 불이행하고 무대책 또는 의도적인 노동자 탄압 국면을 조성, 경제적 어려움을 초래한 정부와 여당이 일으킨 재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역소멸시대에 마을공동체 통해 해법 찾기 성과''지역소멸시대에 마을공동체 통해 해법 찾기 성과' 마을공동체 경남마을공동체지원센터 윤성효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