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왕' 소유였던 애완 하마, 해외이주 조치되는 이유는 SBS뉴스
에스코바르는 1980년대 안티오키아주 메데인에서 약 250㎞ 떨어진 아시엔다 나폴레스 동물원에 수컷 하마 1마리와 암컷 하마 3마리를 들여왔습니다.이후 하마는 마그달레나강 유역을 따라 급속도로 번식하기 시작했고 130~160마리 규모로 불어나면서 이른바 '코카인 하마'로 불렸습니다.
이 논문은 하마의 배설물이 수역 산소농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어류 생태계뿐 아니라 주민들까지 위협할 수 있다고도 주장했습니다.또 다른 학술지 '생물보존'에 지난 2021년 실린 논문은 하마가 작물을 훼손하거나 주민들에게 공격성을 보일 가능성도 있다고 경고했습니다.당국은 결국 하마 70마리를 인도와 멕시코의 자연보호구역에 각각 이주시키는 계획을 최근 마련했습니다.가비리아 주지사에 따르면 콜롬비아농업연구소 등의 승인을 거치면 올 상반기 내에 하마들의 이주가 가능할 전망이며, 하마들은 특수 상자에 담겨 비행기로 운송됩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바흐무트는 생지옥'...집착하는 이유는?[앵커]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동남부 지역 바흐무트를 놓고 오랫동안 치열한 공방전을 벌였습니다.전쟁이 한동안 교착상태에 빠져 고전하면서도 이 지역에 집착한 이유는 뭘까요?김선희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자]전쟁이 휩쓸고 간 바흐무트의 최전방, 멀쩡한 건물을 찾기 힘들 정도로 폐허가 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카카오 막은 SM 이수만의 편지, 하이브 선택한 이유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노동N이슈] 노동약자 위한 대타협‥쉽지 않은 이유는?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가는 길. 노동계는 이 길이 견고한 울타리에 막혀 있다고 말합니다. 울타리 바깥의 노동, 중소기업과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국 정부, 1901년부터 일본의 한반도 강점 책동 묵인미국은 19세기 중반까지 조선에 대해 아는 것이 거의 없다가 조선과의 통상에 관심을 둔 것은 1854년 페리 호 등 미군 함대를 일본에 보내 평화리에 미일조약을 체결하면서부터였다. 당시 조선 조정은 외부 세계와의 교역을 엄격히 금지하는 쇄국정책을 유지하고 있었다. 청나라가 조선의 개항을 반대했는데 그 이유는 조선이 개항하면 조선에 재한 지배권을 잃어버릴까 우려했기 때문이다. 청나라는 조선이 계속 쇄국정책을 고수하면서 청나라와의 전통적인 조공관계를 유지하고 싶어 했다. 그런 상황에서 미국의 상선 제너럴셔먼호가 1866년 7월 평안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튀르키예 강진으로 5층서 떨어진 8개월 '기적의 아기' 가족과 재회튀르키예 강진으로 5층 높이 아파트에서 떨어졌으나 생존한 '기적의 아기'가 지진 발생 닷새 만에 가족과 극적으로 재회했다고 미국 CNN방송이 15일 보도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