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테일'이 다른 선거법 개정안... 누구에게 유리할까 권역별비례대표제 김영배 이상민 중대선거구제 비례대표제 김찬휘 기자
지난 1부에서 소선거구제 몇 개를 모아서 중대선거구제로 바꾸는 것만으로는 아무런 개혁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살펴봤다. 특히 기초의회 선거제도와 같은 '단기비이양식' 중대선거구제는 거대 양당의 지지율을 초과하는 의석 독식이 계속됨을 알게 됐다. 하지만 중대선거구제는 정당명부식의 형태로도 진행될 수 있는데, 그때 그것을 보통 '권역별 비례대표제'라고 부른다.
여기서 김두관, 이상민, 김영배 안은 현행 준연동형을 유지하면서 권역별 비례대표제로 개정할 것을 주장한다. 다시 말해 전국 단위로 하던 준연동형 계산을 권역별로 각각 하는 것이다. 권역에 배정된 전체 의석을 그 권역의 정당 지지율대로 나눈 다음에 그 권역의 지역구 당선자수를 뺀 수의 1/2를 배분한다. 정치 선진국에서는 이 점을 고려해 정당이 명부를 만들되 유권자가 후보에 투표할 수 있게 해 누가 당선될지를 유권자가 결정할 수 있게 열어두고 있다. 그래서 그것을 open list라 부른다. 이것을 '자연장벽'이라 부른다. 선거법에 규정된 '법적 진입장벽'은 아니지만 권역의 의석수로 인해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장벽이라는 의미이다. 이미 보았듯이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권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1석을 위한 '자연장벽'이 높아진다. 따라서 권역별 비례대표제로 바꾼다고 해도 권역의 의석수가 적으면 다양한 정당의 의회 진출이 어려워지고 비례성은 추락한다.
이것은 현행 공직선거법보다도 비례의석을 얻기 더 어려워지는 것이다. 현행은 전국 득표율 3%만 넘으면 무조건 1석이 생기는데, 김영배 안에 따르면 전국 3%에 권역별 자연 장벽도 넘어야 하는 것이다. 김영배 안이 법이 된다면 전국적 지명도가 높은 소수 정당은 권역별 자연 장벽에서 걸리고, 지역 조직력이 높은 소수 정당은 전국 득표율에서 걸려 넘어질 것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전국사학민주화교수노조 선정 사학민주화상에 강민정 의원전국사학민주화교수노조 선정 사학민주화상에 강민정 의원 사학민주화상(최우수_국회의원상) 전국사학민주화교수노조 강민정_국회의원 김재우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칼바람 맞으며 26분 덜덜'…마을버스 요즘 뜸해진 이유 있었다 | 중앙일보현재 서울에 운행되는 마을버스는 1662대입니다.\r마을버스 버스 배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다주택자 감세가 영세 임차인을 위해서라고?프리드먼이 말한 토지보유세는 매년 지대 즉 토지 임대가치의 거의 100%를 걷는 세금이다. 다주택자를 세금으로 차별(?)하는 정책이 싫다면 윤 대통령은 프리드먼의 견해처럼 '토지보유세 강화 + 다른 세금 감면'이라는 패키지 정책을 내놓아야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언론사 유튜브도 언론중재위 조정 대상, 법 개정안 발의언론사 유튜브 등의 콘텐츠도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 대상으로 하자는 내용의 언론중재법(언론중재 및 피해구제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국회에 발의됐다. 언론중재위가 내부 논의 끝에 언론사의 유튜브 채널의 보도 콘텐츠도 분쟁조정 대상으로 봐야 한다고 밝힌 가운데 이를 법제화하는 내용이다. 지난달 27일 김승수 국민의힘 의원은 “유튜브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와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 뉴미디어가 급격히 성장하면서 언론사의 활동 영역도 전통적 방송, 신문, 뉴스통신 등을 넘어 뉴미디어로 확대되고 있어 언론사가 운영하는 뉴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화물연대 파업을 가장 정치적으로 이용한 건 윤석열 정부다''화물연대 파업을 가장 정치적으로 이용한 건 윤석열 정부다' 화물연대 일몰제 ILO 안전운임제 김도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60대 최민식 확 젊어졌다…얼굴·목소리 싹 30대로 바꾼 마법 | 중앙일보'만족한다.'\r배우 최민식(61)이 드라마 '카지노' 속 자신의 30대 모습에 대해 이렇게 평가했습니다.\r배우 최민식 드라마 카지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