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인상→가격 인상' K푸드 경쟁력 뚝…식품업계 美 관세 먹구름

판매가 뉴스

'관세 인상→가격 인상' K푸드 경쟁력 뚝…식품업계 美 관세 먹구름
경쟁력트럼프발 관세관세 한파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52 sec. here
  • 6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8%
  • Publisher: 53%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농식품 수출액은 99억8000만 달러(약 14조5538억원)로, 역대 최대다. 지난해 대미 수출액은 전년 대비 21.2% 증가한 15억9290만 달러(약 2조3229억원)로, 전체 농식품 수출액의 15.9%를 차지한다. 미국이 캐나다‧멕시코(25%)처럼 한국에서 수입하는 제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나선다면 K푸드의 가격 경쟁력이 뚝 떨어진다. - 판매가,경쟁력,트럼프발 관세,관세 한파,관세 타격

트럼프발 관세 무기화 전략이 현실화하면서 K푸드 인기로 분위기가 좋았던 식품업계가 노심초사다. 미국이 오는 4일부터 중국뿐 아니라 자유무역협정을 맺은 인근 동맹국까지 최대 25% 보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나섰기 때문이다. 한국도 미국의 관세 공세를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지난해 한국 식품업계는 미국 시장을 등에 업고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농식품 수출액은 99억8000만 달러로, 역대 최대다. 미국 덕이 컸다. 지난해 대미 수출액은 전년 대비 21.2% 증가한 15억9290만 달러로, 전체 농식품 수출액의 15.9%를 차지한다.

미국이 캐나다‧멕시코처럼 한국에서 수입하는 제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나선다면 K푸드의 가격 경쟁력이 뚝 떨어진다. 예컨대 미국에서 한 개에 2000원에 팔고 있는 불닭볶음면에 25% 관세를 붙이면 가격은 2500원이 된다. 미국 내 판매 가격을 유지하려면 결국 늘어난 관세만큼 이익을 줄여야 한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같은 제품 가격을 갑자기 올리면 소비 저항감이 생겨 잘 팔리지 않게 돼 관세가 올라도 바로 가격을 올릴 수는 없다”며 “당장은 마진을 줄이고 상황을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식품 업계는 현지 생산 외에는 관세 타격을 피할 방법이 없다고 입을 모은다. 주요 식품업체들이 앞 다퉈 미국에 생산시설을 짓는 이유다. CJ는 이미 미국에만 21개의 공장이 있다. 지난해 11월 미국 사우스다코다 주에 7000억원을 들여 ‘북미 아시안 푸드’ 신공장 건립 계획을 밝혔다. SPC그룹도 텍사스 주에 미국 첫 제빵 공장을 짓는다. 농심, 풀무원, 대상 등도 캘리포니아‧로스엔젤레스에서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 내 공장에서 만든 제품을 팔면 관세를 피할 수 있고 운송비용을 아낄 수 있는 데다 현지 시설 투자에 대한 미국 정부의 세제 혜택 등을 누릴 수 있다.현지 공장 설립에 드는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업체들은 관세 직격탄을 피하기 어렵다. 익명을 요구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현지 공장 한곳 지으려면 적어도 천억원 수준의 대규모 자금이 필요하고 투입한 자금을 회수하려면 완공 후 10년은 걸리기 때문에 쉽게 결정할 수 없는 사항”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수출 다변화를 꾀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현재는 수출 1~3위 국가인 미국·중국·일본 의존도가 전체 농식품 수출액의 절반 수준이다. 정대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한국 농식품 수출은 수출 대상국이 집중화되어 있어 해당 국가의 정치·경제환경 변화나 기후에 따른 수급 변화 등에 따른 수출 변동성이 크다”며 “위험을 분산하고 안정적인 수출 증대를 위해서는 새로운 해외시장 개척·확대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경쟁력 트럼프발 관세 관세 한파 관세 타격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트럼프, 콜롬비아에 '즉각 25% 관세…1주일내 50%로 인상'(종합)트럼프, 콜롬비아에 '즉각 25% 관세…1주일내 50%로 인상'(종합)(워싱턴·뉴욕=연합뉴스) 박성민 강병철 이지헌 특파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미국에 불법으로 체류하던 콜롬비아 국적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캐나다·멕시코·중국에 관세 인상…글로벌 무역 갈등 심화트럼프, 캐나다·멕시코·중국에 관세 인상…글로벌 무역 갈등 심화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관세를 인상하며 글로벌 무역 갈등이 심화될 전망입니다. 미국 언론들은 이번 관세 인상에 대해 실익이 없으며 오히려 미국 시민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이번 관세 인상으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에 혼란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대국은 보복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수석고문 멕시코·캐나다·중국이 보복하면 관세 추가 인상트럼프 수석고문 멕시코·캐나다·중국이 보복하면 관세 추가 인상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멕시코와 캐나다, 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 서명한 가운데, 미 백악관은 이들 국가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빅테크·월가의 방패막 자처한 트럼프…“중국이 미국 악용, EU는 아주 나빠”빅테크·월가의 방패막 자처한 트럼프…“중국이 미국 악용, EU는 아주 나빠”트럼프, 관세 이어 조세폭풍 글로벌 세금 리스크 강타 “美 차별하는 국가 조사” 지시 징벌적 세금으로 보복 예고 OECD 글로벌 최저한세 탈퇴 조세피난 방지 제도 무력화 FT “美, 글로벌 세제에 도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역시 간 큰 개미들이네”…트럼프에 한 방 맞은 인도 증시, 한국 투자자는 줍줍“역시 간 큰 개미들이네”…트럼프에 한 방 맞은 인도 증시, 한국 투자자는 줍줍센섹스지수 고점대비 11% 뚝 올들어서만 2.5% 넘게 빠져 관련 ETF도 최대 12% 급락 관세 리스크에 투자심리 냉각 개인은 저가매수 기회로 삼아 무역적자 개선·환율 안정 기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 풍년이라더니 가격 왜이래? '밥도둑'에 배신감 느낀 소비자김 풍년이라더니 가격 왜이래? '밥도둑'에 배신감 느낀 소비자물김 풍년, 1년새 가격 반토막반면 물김으로 만든 마른김은1.5배 인상, 장당 150원 돌파제일제당·동원·풀무원 등 업계물김값 오를땐 따라 올리더니떨어질 땐 가격 인하 '하세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1 20:3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