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진 인선 진통' KT, 1분기 실적 부진…영업익 22.4% 감소(종합)
매출은 6조4천437억원으로 2.6% 증가했지만, 순이익은 3천96억원으로 32% 감소했다.별도 기준 영업이익은 3천881억원, 순이익은 3천199억원으로 각각 9.7%, 18.2% 줄었다. 매출은 4조6천190억원으로 0.2% 늘었다.
KT는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많이 감소한 데 대해 지난해 마포 설루션 센터 매각으로 일회성 이익이 전년 실적에 반영되면서 올해 1분기 역기저 효과가 발생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그러나 시장에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져 온 지배구조 개선 논란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황성진 흥국증권 연구원은"최근 CEO 선임을 두고 벌어지는 일련의 과정들이 더 불투명해지는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면서"정보통신기술 환경에서 경영 공백으로 인한 불확실성은 기업가치에 있어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고 진단했다.그러면서"TF는 대표이사 및 이사 선임 절차, 이사회 역할 등 대외적으로 신뢰받을 수 있는 선진 지배구조 개선방안을 마련해 빠르게 지배구조를 정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B2B 통신 사업의 매출은 대형 콘텐츠사업자와 글로벌 고객의 트래픽 증가, 알뜰폰 시장 성장 등으로 3.4% 늘어난 5천408억원을 기록했다.
B2C 통신 사업도 로밍 매출 증가 등에 힘입어 매출이 2조3천811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2% 늘었다. 5G 가입자는 894만 명으로 핸드셋 기준 전체 가입자의 65%를 기록했다. 그러나 B2B 플랫폼 사업의 매출은 4천646억원으로 전년 대비 13.9% 감소했다. 다만 신한금융그룹 통합 AI콜센터, 국방광대역 구축사업 등 기존에 수주한 사업의 매출이 본격적으로 1분기에 반영됐고, 호텔업 회복 등으로 부동산 매출은 증가했다고 KT는 전했다.BC카드도 신용카드 매입액 증가, 자체 카드 발행, 대출 사업 등의 성장으로 매출이 5.6% 늘었고, 케이뱅크는 2021년 2분기부터 8개 분기 연속으로 영업 흑자를 이어갔다. 케이뱅크의 1분기 말 수신 잔액은 16조6천억원, 여신 잔액은 11조9천억원으로 각각 44.2%, 52.9% 증가했다.김영진 KT 최고재무책임자는"KT는 인플레이션과 성장을 위한 투자 비용 증가에도 견고한 사업구조를 바탕으로 올해 1분기 매출 성장을 끌어냈다"며"지배구조 분야에서도 글로벌 스탠다드를 뛰어넘는 선진 지배구조 체계 구축을 통해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LGU+, 1분기 영업익 2천602억…정보보호비용 증가에 제자리걸음(종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오규진 기자=LG유플러스[032640]는 고객정보 유출 및 디도스 장애 대응에 따른 일회성 비용 증가에도 5G 가입자 증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4월 취업자 35만4천명↑…제조업은 2년 4개월 만에 최대 감소(종합) | 연합뉴스(세종=연합뉴스) 김다혜 박원희 기자=지난 4월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35만4천명 늘었으나 청년층과 제조업 취업자 감소세가 이어졌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SKT 1분기 영업익, 전년동기비 14% 증가…'신사업 실적이 견인'(종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SK텔레콤[017670]은 올해 1분기 미디어와 엔터프라이즈 등 신사업 성과에 힘입어 호실적을 기록했다고 10...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분기 나라살림 적자 54조원…연간 적자 전망치 육박 | 연합뉴스(세종=연합뉴스) 박용주 기자=올해 들어 석 달 만에 나라살림 적자가 54조원까지 불어났다. 세금 수입 부진 등에 따라 정부가 예상한 올해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분기 세계 태블릿 출하량, 팬데믹 이후 가장 적어'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올해 1분기 전 세계 태블릿 출하량이 코로나 팬데믹 시작 이후 가장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바이든, 지지율 부진…민주 일각 '이러다 트럼프에 패배할 수도'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김경희 특파원=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재선 공식화 이후 지지율 반등의 계기를 만들지 못한 채 낮은 지지율이라는 늪에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