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측은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을 오지랖에 가까운 '참견'이라 평가하며 불편한 심기를 거의 직설적으로 드러냈다.
16일 IRNA 통신에 따르면 이란 정부는 윤 대통령의 '아랍에미리트의 적은 이란' 발언에 대해 '비외교적'이라고 비판하고 한국 측의 설명을 요구했다.나세르 칸나니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한국 대통령의 발언은 이란과 UAE를 포함한 페르시아만 국가들 간의 역사적 유대관계, 이와 관련한 관계 발전의 급진전을 전혀 모르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이에 우리 외교부는" 이란과의 관계 등 국가 간의 관계와는 무관한 바, 불필요하게 확대 해석되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며 진화에 나섰다.외교부의 즉각적 입장 표명으로 이란 측 반발이 표면화될 가능성은 줄어들었지만 양측의 앙금이 거듭 쌓이는 것은 어쩔 수 없게 됐다. 이미 이란 정부는 2021년 1월 호르무즈 해협 공해상을 운항하던 한국 국적 선박 '한국케미호'를 나포해 석달여 동안 억류하며 양국 관계를 긴장시켰다.
이란 측은 2018년 당시 미국 트럼프 정부가 이란핵합의를 일방 탈퇴하면서 대이란 제재를 복원한 것에 한국이 동참한 것에 불만을 품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양국관계는 이란 보수언론의 강경 주장에 대한 우리 정부의 항의, 이란 정부 대변인의 이태원 '할로윈 참사' 관련 문제성 발언 등 돌출 악재로 삐걱거려왔다.윤 대통령의 외교적 실언은 지난해 9월 '날리면' 파동에서 보듯 잦은 편이지만, 이번 사안은 이란 정부가"심각하게 지켜보고 있다"고 한 것에서 보듯 그리 간단히 풀릴 성격은 아니다. 외교부가 펴낸 '2023 UAE 개황'에 따르더라도 UAE는"이란을 최대의 잠재적 위협으로 인식하면서도 실리적인 경제 관계를 구축하며 양국 관계를 관리해 나가는 중"인 상태다. 오히려 UAE가 상대적으로 적대시하는 중동지역 국가는 '무슬림형제단' 비호 문제 등으로 국교를 단절한 카타르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란 외교부 '윤 대통령 'UAE의 적' 발언, 한국 정부 설명 기다려'이란 대변인 브리핑 "UAE 등과 우호적 관계, 무지 보여줘"... 외교부 "대이란 관계와 무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주·정의 '윤 대통령, 해외만 나가면 물가 내놓은 아이마냥...'민주·정의 '윤 대통령, 해외만 나가면 물가 내놓은 아이마냥...' 윤석열_대통령 아크부대 김성환 UAE의_적 배진교 이경태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란 '윤 대통령 발언에 대한 한국 외교부 설명 기다린다'"UAE 적은 이란, 우리 적은 북한" 발언 관련... 국영 IRNA 통신, 이란 대변인 입장 보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UAE의 적은 이란” 尹 실언에 대통령실 “한-이란 관계와는 무관”, 해명도 엉터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