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머스 前 미국 재무장관'여전히 인플레 압력 남아한국, 재정여력 남겨놔야'
한국, 재정여력 남겨놔야" 미국의 금리 인상 사이클이 막을 내렸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미국 재무장관을 지낸 로런스 서머스 하버드대 교수가"한 번의 추가 인상은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물가가 여전히 높다는 판단에서다.
서머스 교수는 6일 한국은행·세계은행 서울포럼에서 진행된 이창용 한은 총재와의 영상 대담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미국 재무장관, 국가경제위원회 의장, 하버드대 총장 등을 역임한 미국 경제학계 거물이다. 이 총재는 하버드대 경제학과 유학 시절 서머스 교수의 애제자로 알려져 있다. 서머스 교수는 이날"미국 연방준비제도가 11월 금리를 동결한 것에 놀라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연준은 12월에도 움직이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여전히 인플레이션 압력이 남아 있고 경제는 꽤 견조하다"며 추가 금리 인상을 전망했다.그는 최근 글로벌 시장을 뒤흔들었던 미국 장기채 금리 상승에 대해"장기채 이자율 상승은 정부 부채 적자와 관련된 기대를 반영한다"면서"이때 단기 금리를 낮추는 것은 적절한 대응이라고 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서머스 교수는 전 세계적 이슈였던 중립금리에 대해 한국의 경우 세계적 추세를 따라가는 경향을 보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총재는"인구 고령화와 저출산에 따른 저성장 압력은 미국보다 한국에 더 크게 작용할 것"이라며"고물가 시기가 지나면 중립금리가 하향 추세에 접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서머스 교수는"인구통계학적 변화와 노동력 성장 둔화는 중요한 현상"이라면서도"한국이 만성적 무역 흑자 국가라면 중기적으로 중립금리를 인상하는 것과 같은 일이 일어날 수 있다"고 답했다.그러면서"공급망 다각화와 통화·재정 정책 측면에서 여유를 남겨두는 것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4% 금리 만족못해, 더 오를 날 기다려”…2030 예테크족 ‘존버’금리 따라 옮겨타는 ‘예테크족’ 요구불예금·제2금융권 계좌 늘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국 기준 금리 동결에도 금리·물가 고공행진...왜?■ 진행 : 오동건 앵커 ■ 출연 : 이정환 한양대 경제금융대학 교수*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이의 잘린 손가락을 살리고 싶었다... 삶을 움켜쥔 네 개의 손[더 인천 : 사람] 손을 보면, 사람이 보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당 5선 서병수 “서울 더 ‘메가’하게 만들면 대한민국 경쟁력 갉아먹어”국민의힘 당내 최다선인 5선 서병수 의원은 5일 “서울을 더 ‘메가’하게 만드는 것은 대한민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세계 2위 한국기술 인수한 중국 자본…이번엔 직원 ‘자르기’ 논란국내 CDN 기술, 中자본으로 한국법인 인수 후 조직 축소 기술 이전 해도 법적 보호無 “현행법상 국가핵심기술 아냐” 산업장관 “보완책 있을지 검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주당 ‘이태원 특별법, 노란봉투법’ 여당 협조 촉구...“유엔 권고 이행해야”“윤 대통령, 참사 더 이상 외면 말고 진심 어린 사과 하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