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6일 서울에 침투한 북한 무인기가 용산 대통령실 인근 비행금지구역을 침범하지 않았다고 강력히 부인하던 군이 일부 진입했다고 입장을 바꿨습니다.군은 우리 영공을 침범한 북한 무인기 1대가 대통령실이 있는 서울 용산구 일대 비행금지구역, P-73 내로 수백m 들어왔다 나간 것으로 파악했다고 밝혔습니다....
군은 우리 영공을 침범한 북한 무인기 1대가 대통령실이 있는 서울 용산구 일대 비행금지구역, P-73 내로 수백m 들어왔다 나간 것으로 파악했다고 밝혔습니다.
군은 어제 이종섭 국방부 장관과 김승겸 합참의장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북한 무인기 대응책을 보고한 자리에서 이같이 보고했습니다.그러면서 북한 무인기가 P-73 내 700m까지 들어왔다는 일부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앞서 국회 국방위원회 야당 소속 의원들은 합참이 보고한 북한 무인기 비행 궤적을 토대로 무인기가 비행금지구역을 통과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YTN 신준명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최소한의 남북 ‘완충 장치’…9·19 군사합의, 존폐 기로에 서다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말 북한 무인기가 수도권 상공을 침범한 것과 관련 “북한이 다시 우리 영토를 침범하는 도발을 일으키면 9·19 군사합의 효력정지를 검토하라”고 4일 국가안보실에 지시했습니다. 🔽 자세히 알아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北 무인기 침범 등 연쇄 도발에…9·19 군사합의 존폐 갈림길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북한의 잇따른 도발로 사실상 무의미해진 9·19 남북군사합의에 대해 결국 우리 정부도 효력 정지를 검토할 수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드론 잡는 '드론 킬러' 신속 개발…스텔스 무인기는 연내 생산군 당국은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후속 대응책으로 '합동 드론사령부'를 창설해 드론 전력을 확충하는 동시에 감시·식별·타격 체계를 강화해 무인기·드론 방공망을 촘촘히 구성하겠다는 계획을 내놨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드론 잡는 '드론 킬러' 신속 개발…스텔스 무인기는 연내 생산군 당국은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후속 대응책으로 '합동 드론사령부'를 창설해 드론 전력을 확충하는 동시에 감시·식별·타격 체계를 강화해 무인기·드론 방공망을 촘촘히 구성하겠다는 계획을 내놨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합동드론사령부 창설…'드론킬러' 개발·스텔스무인기 연내생산(종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군 당국은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후속 대응책으로 '합동드론사령부'를 창설해 드론 전력을 확충하는 동시에 감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