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를 강행하면서 미중 무역전쟁이 재점화되었다. 중국은 이에 맞서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10% 관세를, 석탄과 액화 천연 가스에는 1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대응했다. 하지만 관세 부과는 극적인 협상 타결 가능성을 남기고, 협상 여지가 열린다는 분석도 나온다.
김준억 권숙희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보름 만에 ' 미중 무역전쟁 ' 2라운드가 포문을 열었다.이에 중국은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10% 관세를, 석탄과 액화천연가스에는 15% 관세를 각각 추가로 부과하겠다고 대응했다.다만 '추가 10%'는 트럼프 대통령이 공언해온 60% 관세율에 크게 못 미치는 데다 트럼프 대통령의 불확실성이나 양국 정상 간 통화 가능성 등 극적인 협상 타결 여지는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전 세계를 향한 무역전쟁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10% 추가 관세를 강행하는 것으로 첫 포성을 울렸다.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도 통화하겠다고 밝혔으나, 관세 부과를 예고했던 4일 오전 0시까지 양국 간 통화 소식은 전해지지 않았다.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이날"오는 10일부터 미국산 일부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싱가포르의 삭소마켓츠의 차루 차나나 수석투자전략가는"협상은 여전히 가능한 상황으로 판단된다"며"그러나 내일 협상 결과가 나오더라도 모든 것이 잘 해결될지는 의문이며 불확실성은 협상 여부와 무관하게 지속될 수 있어 변동성이 완화될 것으로 추측하기에는 이르다"라고 덧붙였다.트럼프 대통령이 대중국 관세 부과를 철회하지 않는 한, 당장 중국의 수출 분야 타격은 피할 수 없어 보인다. 현재 미국에 수출되는 중국산 제품에는 평균 약 20%의 관세율이 적용된다. 그런데 이날 명령이 '모든' 중국산 수입품을 겨냥한 보편 관세이므로 이 평균 관세율은 4일부터 약 30%로 높아진다.
미국이 이미 관세를 높여놓은 중국 전략 산업 분야의 경우 전기차 관세율은 100%에서 110%, 전기차 리튬배터리와 배터리 부품 관세율은 25%에서 35%로 오른다. 또 태양광 웨이퍼 및 폴리실리콘 관세율은 50%에서 60%로, 텅스텐·알루미늄 등의 관세율도 25%에서 35%로 상승한다.중국 웨카이증권은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이 관세를 10% 인상할 경우 중국의 대미 수출 증가율이 12%포인트, 전 세계 대상 수출 증가율이 1.8%포인트 하락하고, 연간 국내총생산 성장률이 0.3%포인트 낮아질 것이라고 내다본 바 있다.다만, 이러한 시련이 천재지변처럼 닥친 것이 아닌 예측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중국은 상당한 대비책을 마련해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최근 글로벌 사우스와의 경제 협력 강화 등으로 수출 다변화를 시도하고, 외국인에 관광·금융 개방 등을 하며 내수 부흥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투자은행 나틱시스의 게리 응 수석이코노미스트는"캐나다·멕시코와 달리 중국이 트럼프의 요구를 받아들이기가 분명히 어렵다"라며"신속한 협상 타결에 대한 시장의 낙관론은 여전히 불확실해 보인다"라고 지적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미중 무역전쟁 긴장 고조, 대미 보복 관세 발효미국은 중국에 대한 10%의 추가 보편 관세를 4일 발효하는 등 무역 갈등을 심화시켰다. 중국 역시 미국 상품에 대응하는 보복 관세를 발표하며 타협 가능성은 미지수로 남아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국, 미 상품에 보복 관세 발표… 미중 무역전쟁 재돌입 가능성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시행을 한 달간 유예하면서 중국과의 무역전쟁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중국은 10일부터 일부 미국 상품에 10% 관세, 석탄과 LNG에는 1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며 '보복 조치'를 취했습니다. 미중간 협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EU, 반도체, 철강, 석유·가스 등에 관세 부과 의지를 밝히며 글로벌 통상전쟁 가능성도 시사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관세 폭주가 시작됐다”…트럼프 경제팀의 예스맨 4인, 무슨 무기 들었길래관료대신 기업인·변호사 출신 강경파 일색, 일방통행 예고 관세·기술·투자 동시 규제로 글로벌 무역질서 재편 시도 무역법 등 4개의 ‘관세 규제’ 불공정 무역 이유로 보복 가능 슈퍼 301조 한국에 최대위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블랙리스트 발표에 中기술주 날벼락美국방부 '중국 군부 협력기업'관세 인상에 추가 악재로 부상텐센트·CATL·퀙텔 주가 급락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1일부터 ‘관세 부과’ 본격 실행...캐나다·맥시코 “강력 대응”백악관 “캐나다·멕시코 25%, 중국 10% 관세 부과” 트뤼도 “강력하고 즉각적인 대응 준비돼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캐나다·멕시코 “관세 전쟁 올것이 왔다”...술·자동차 등 보복 관세 준비캐나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대로 25% 관세 폭탄을 쏘아올리자 ‘올 것이 왔다’는 반응 속에서 미국 기업과 제품을 상대로 보복성 대응을 시작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도 멕시코 대통령 클라우디아 셰인바움과 통화하겠다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더그 포트 온타리오주 주지사는 1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