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중국에 대한 10%의 추가 보편 관세를 4일 발효하는 등 무역 갈등을 심화시켰다. 중국 역시 미국 상품에 대응하는 보복 관세를 발표하며 타협 가능성은 미지수로 남아있다.
오는 10일 중국의 대미 보복관세 발효 전에 극적 타협할지 주목 (서울=연합뉴스) 김용래 기자=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펜타닐 등의 문제로 중국에 대해 예고한 10%의 추가 보편 관세가 4일(현지시간)부로 공식 발효됐다. 지금까지 미국에 수출되는 중국산 제품에는 평균 약 20%의 관세율이 적용됐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일 서명한 행정명령에 따라 이제부터는 '모든' 중국산 수입품들에 10% 더 높은 평균 30%의 관세율이 적용된다. 태양광 웨이퍼 및 폴리실리콘 관세율은 50%에서 60%로, 텅스텐·알루미늄 등의 관세율도 25%에서 35%로 인상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를 유예한 멕시코와 캐나다에 이어 중국과도 24시간 안에 대화하겠다고 밝혀 대중 관세도 유예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일었지만, 반전은 없었다. 10%의 추가 관세 부과 시한인 4일 0시를 넘긴 시점까지 미·중 양국 어느 쪽에서도 관세 유예와 관련한 발표는 나오지 않았다.
중국 국무원은 미국산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에는 15%의 관세를 추가하고, 원유·농기계를 비롯해 대배기량 자동차와 픽업트럭에는 10%의 관세를 추가로 부과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아울러 텅스텐과 텔루륨, 비스무트, 몰리브덴, 인듐 등의 수출통제 조치를 발표하는 한편, 미국을 대표하는 빅테크 중 하나인 구글을 상대로 반독점법 위반 조사도 개시하기로 했다. 트럼프 미 행정부의 '선제공격'으로 촉발된 미·중 간 무역전쟁은 그러나 양국 정상 간 대화를 통해 극적으로 유예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미국과 국경을 맞댄 나라들인 멕시코와 캐나다에 예고한 미국의 관세 조치는 발효를 불과 몇 시간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과 두 나라 정상 간에 통화가 이뤄지면서 시행이 한 달간 유예됐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에는 무역전쟁이 시작된 지 18개월 만에 2020년 1월 양국이 이른바 '1단계 무역합의'에 서명하면서 갈등이 봉합된 적이 있다. 당시 중국은 2020∼2021년까지 미국 제품 구매를 최소 2천억 달러 늘리기로 했고, 트럼프 1기 행정부는 중국의 대미 수입 확대를 대가로 광범위한 중국 상품에 대한 추가 고율관세 부과를 보류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스타머, 머스크 비판에 맞서 싸움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영국 정계 비판에 스타머 영국 총리가 맞서 반박하며 긴장 고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관세 폭주가 시작됐다”…트럼프 경제팀의 예스맨 4인, 무슨 무기 들었길래관료대신 기업인·변호사 출신 강경파 일색, 일방통행 예고 관세·기술·투자 동시 규제로 글로벌 무역질서 재편 시도 무역법 등 4개의 ‘관세 규제’ 불공정 무역 이유로 보복 가능 슈퍼 301조 한국에 최대위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국, 미 상품에 보복 관세 발표… 미중 무역전쟁 재돌입 가능성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시행을 한 달간 유예하면서 중국과의 무역전쟁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중국은 10일부터 일부 미국 상품에 10% 관세, 석탄과 LNG에는 1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며 '보복 조치'를 취했습니다. 미중간 협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EU, 반도체, 철강, 석유·가스 등에 관세 부과 의지를 밝히며 글로벌 통상전쟁 가능성도 시사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캐나다·멕시코 “관세 전쟁 올것이 왔다”...술·자동차 등 보복 관세 준비캐나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대로 25% 관세 폭탄을 쏘아올리자 ‘올 것이 왔다’는 반응 속에서 미국 기업과 제품을 상대로 보복성 대응을 시작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도 멕시코 대통령 클라우디아 셰인바움과 통화하겠다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더그 포트 온타리오주 주지사는 1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프릴랜드 전 캐나다 부총리, 트럼프 관세 위협에 '보복 관세 품목' 공개프릴랜드 전 캐나다 부총리 겸 재무장관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에 맞서 '보복 관세 품목' 공개 등 맞대응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현명한 대응은 아픈 곳에 보복하는 것'이라며 미국 시장의 특별한 품목들을 표적으로 삼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55조 규모 미국산 제품에 관세 25% 부과”…즉각 보복 나선 캐나다캐나다, 4일부터 맞불관세 적용 대미 최대 교역국 부상한 멕시코 모든 관세·비관세 상응조치 검토 中,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 강대강 대치 속 ‘대화·타협’ 거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