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대법 '문자폭탄 스토킹범' 무죄취지 파기환송…'표현의 자유'
찬반 논쟁…"오해로 감옥보내선 안 돼" vs "피해자에 테러 종신형 내린 셈" 김동호 기자=한 미국 남성이 여성에게 소셜미디어로 '문자폭탄'을 보내며 스토킹 행각을 벌인 사건에 대해 미 대법원이 '표현의 자유'를 이유로 무죄 취지로 파기환송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27일 보도했다.주심인 진보 성향의 엘리나 케이건 대법관은 자신이 작성한 다수 의견서에서"피고인이 자신의 말이 위협적인 것이었는지 스스로 인지하고 있었다는 증거가 필요하다"고 판시했다.과거 대법원은 표현의 자유 보호를 명시한 수정헌법 1조와 관련해 '진정한 위협은 헌법적 보호에서 제외된다'는 취지의 판례를 내놓은 바 있다. 표현의 자유를 광범위하게 보장하되, 누군가를 위협하는 처사는 예외로 한다는 취지다.
그는 월렌에게"공공장소에서 당신을 봤다. 흰 지프 자동차를 탄 사람이 당신이 맞나"라는 쪽지를 보내는가 하면"너는 인간관계가 엉망이다. 죽어라. 네가 필요 없다"고 쓴 적도 있다. 다른 여러 메시지에는 욕설도 담겼다.게다가 카운터맨은 월렌을 스토킹하는 와중에 다른 여성을 협박한 혐의로 기소돼 보호관찰 판결을 받기도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반면 카운터맨은 자신이 망상 등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데다, 위협하려는 의도로 메시지를 보낸 것이 아니었기에 수정헌법 1조 '표현의 자유' 원칙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반면 소수 의견을 낸 2명 중 한명인 보수 성향의 에이미 코니 배럿 대법관은 이날 판결에 반대하며"진정한 위협에 대해 부당한 특혜를 부여하는 것"이라고 썼다.법조계에서는 이번 판결을 두고 찬반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하우스 변호사는"오해가 난무하는 세상에서, 자신의 말이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예측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감옥에 갈 수 있다면 표현이 위축될 수밖에 없다"며"피고인이 고의로 그런 행동을 했는지에 대한 입증 책임을 정부에 부여함으로써 최소한의 숨통을 틔우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조지워싱턴대학의 메리 앤 프랭크스 교수는 수정헌법 1조를 연구하는 학자들을 대표해 낸 성명서에서"대법원이 표현의 자유 조항에 근거해 스토커들이 처벌받지 않고 활개 치도록 결정한 것은 매우 실망스러운 일"이라고 비판했다[email protected]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10분 뉴스정복] 겁줘서 라면값 50원 깎기, 이것이 윤석열의 '자유'라면 값 50원 내렸다. 이게 윤석열이 말하던 자유민주주의냐는 말이 나온다. ✔ 자세한 기사 보기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07:30 | 연합뉴스■ [올해도 많은비] 1시간만에 68㎜…이번 장마도 '순식간에 집중호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0:30 | 연합뉴스■ 장마 초입 대통령실 비상근무…尹 '인명피해 없도록' 거듭 당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4:30 | 연합뉴스■ 제주 한라산 최고 226㎜…본격 장마 시작에 전국 초긴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8:00 | 연합뉴스■ 출제단계서부터 킬러문항 골라낸다…'공정수능 점검위원회' 운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0:30 | 연합뉴스■ 장마 소강상태…제주와 남해안은 내일 새벽까지 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