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당국 'AI 생성 이미지, 저작권 없다…이미지 배치는 인정'
임상수 기자='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이 만들어낸 콘텐츠의 저작권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AI가 생성한 이미지는 저작권을 인정할 수 없다는 미국 당국의 결정이 나왔다.USCO는 그래픽 노블 작가 크리스 카슈타노바에 전달한 지난 21일자 서한에서 그의 그래픽 노블 '여명의 자리야'에서 그가 쓴 글, 그리고 그가 행한 이미지의 선택·배치는 저작권이 인정된다고 통보했다.이번 결정은 최근 미드저니나 오픈AI의 달리, 챗GPT 등 텍스트나 이미지 등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생성형 AI 열풍이 부는 가운데 미국 법원이나 당국이 AI로 생성된 작품의 저작권과 관련해서 내린 첫 결정으로 알려졌다.USCO는 카슈타노바가 이미지 자체의 주인은 아니라면서"미드저니의 특정 결과물을 이용자가 예측할 수 없다는 사실은 저작권 측면에서 예술가들의 다른 도구와 차별된다"고 지적했다.
USCO는 지난해 10월 카슈타노바에게 신청서에 미드저니의 역할이 드러나 있지 않아 저작권 등록을 재검토할 것이라고 전했으며, 이날 인간의 저작물이 아닌 이미지들을 저작권 보호 대상에서 제외하기 위해 '여명의 자리야'에 대한 저작권 등록을 재발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카슈타노바는 USCO가 이 작품의 글과 이미지 배치 방식에 대한 저작권을 인정한 것에 대해"정말 좋은 뉴스"라면서"AI 예술 커뮤니티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미드저니의 법무 자문위원인 맥스 실스는"이번 결정은 크리스와 미드저니, 예술가들에게 위대한 승리"라며"USCO의 결정은 예술가가 미드저니 같은 이미지 생성 도구를 창의적으로 통제한다면 그 결과를 보호받을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고 평가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루이뷔통의 '내로남불'…광고에 현대미술 거장 작품 무단사용 | 연합뉴스저작권 침해에 대한 강력한 대응으로 유명한 프랑스의 럭셔리 브랜드 루이뷔통이 현대미술 거장의 작품을 허락 없이 광고에 사용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루이비통 광고 ‘짝퉁’ 논란…“현대미술품 최소 3점 무단사용”저작권 침해에 강력 대응하는 것으로 유명한 루이비통이 현대미술 거장의 작품을 마케팅에 무단사용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루이비통 조앤미첼 🔽 자세히 읽어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후위기 예외 없다…남극 바다얼음마저 역대 최소면적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전명훈 기자=남극의 해빙(바다얼음)이 위성 관측 사상 역대 최소 면적으로 쪼그라들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샌디에이고 감독 '김하성은 좋은 내야수…수비에 문제 없다' | 연합뉴스(피오리아[미국 애리조나주]=연합뉴스) 장현구 기자=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에서 덕장으로 손꼽히는 밥 멜빈(62)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