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면인식 기술 오류로 인해 도둑으로 몰려 체포된 미국 흑...
AP통신의 25일 보도를 인용한 연합뉴스에 따르면 랜들 쿠란 레이드라는 남성은 지난 8일 루이지애나주 제퍼슨 패리쉬 보안관 사무실과 소속 형사에 대해 직권남용과 불법감금 등의 혐의로 조지아주 애틀랜타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앞서 레이드는 지난해 11월 추수감사절 연휴에 운전 중 조지아주 지캡 카운티 경찰 단속에 체포됐다. 이웃한 루이지애나주 제퍼슨 패리쉬 보안관 사무실이 구속영장을 신청해 수배 중이었기 때문이다. 제퍼슨 패리쉬 보안관 사무실은 지난해 6월 뉴올리언스에서 발생한 신용카드 도난 사건에 대해 수사하면서 안면인식 기술을 활용했다. 안면인식 기술은 범행 현장 CCTV에 촬영된 용의자 얼굴과 수많은 운전면허증 사진을 대조해 레이드를 용의자로 지목했다.이렇게 억울한 체포를 당한 레이드는 구치소에 6일 동안 수감된 후 풀려났다. 그는 이 기간에 일을 하지 못했고 자동차는 견인됐으며 구치소에서 잘못 먹은 음식으로 고생했다고 주장했다.AP통신은 이처럼 안면인식 기술 오류로 잘못 체포돼 소송을 제기한 흑인이 레이드를 포함해 5명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美 흑인 남성, 안면인식 기술 오류로 도둑 누명…6일간 옥살이까지안면인식 기술 오류로 인해 도둑으로 몰려 체포된 미국 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흑인남성, 안면인식기술 오류로 6일간 옥살이…경찰 상대 소송25일(현지시간) AP 통신에 따르면 랜들 쿠란 레이드라는 남성은 지난 8일 루이지애나주 제퍼슨 패리쉬 보안관 사무실과 소속 형사에 대해 직권남용과 불법감금 등의 혐의로 조지아주 애틀랜타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제퍼슨 패리쉬 보안관 사무실은 지난해 6월 뉴올리언스에서 발생한 신용카드 도난 사건에 대해 수사하면서 안면인식 기술을 활용했다. 전문가들은 안면인식 기술이 백인보다 흑인 등 유색인종 얼굴 인식에 오류를 나타내고 있다며, 이에 일부 주에서는 안면인식 기술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국채 10년물 16년만에 최고…원화값 연중 최저 기록하며 코스피 전저점 이탈 [이종화의 장보GO]코스피, 3월 이후 6개월 만에 최저치 기록 달러당 원화값 장중 연저점 1349.5원 경신 美 10년물 금리, 2007년 이후 최고 수준 연방정부 셧다운 우려가 美 국채금리 자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지개’ 표방했지만 남초 집단…여성이 설 자리 잃은 ‘나 혼자 산다’ [플랫]대부분 회차에서 남성 패널 압도적 다수…박나래만 고군분투 지난 9월1일 방송된 |나 혼자 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HD현대-포스코 공사장 스마트 무인화 기술 개발 협력HD현대는 포스코홀딩스와 자원 개발 및 공사 현장의 무인화 기술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두 회사는 이번 협약에 따라 무인화 기술의 첫 단계로 원격 제어를 활용한 무인 건설장비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김완수 HD현대 부사장은 '스마트 건설 분야의 선구적 역할을 하고 있는 포스코그룹과 우리가 보유한 스마트 및 무인화 기술이 융합되면 자원 개발 및 공사 현장에 일대 혁신이 일어날 것'이라고 기대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기대, ‘헤드업 햅틱디스플레이’ 기술 세계 최초 개발한국기술교육대학교 김상연 교수 연구팀 (김상연 교수, 허용해 박사과정, 김태훈 박사과정)은 금오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최동수 교수와 함께 자동차 디스플레이에서 화면을 응시하지 않고 촉각 느낌으로만 가상버튼의 위치를 파악하여 조작할 수 있는 ‘헤드업 햅틱디스플레이 (Head-up Haptic Display)’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또한 개발한 헤드업 햅틱 디스플레이의 유용성을 검증할 수 있는 운전 환경을 개발,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를 조작할 때 버튼의 위치를 파악하고 실제 버튼을 누르는 듯한 물리적인 힘까지 생성해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했다. 시각과 청각정보를 많이 사용하면서 운전을 하는 반면에 촉각 정보는 운전상황을 파악하는데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면서 '본 연구팀은 자동차 운전자가 시각의 도움 없이 진동 촉각 신호를 이용해 가상 버튼의 위치를 파악하고, 딱딱하고 무른 정도를 달리 조정하는 햅틱기능을 이용하여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도와주는 '헤드업 햅틱 디스플레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