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멈추거나 쉬어갈 지점 아니다' 美 다음달 '자이언트스텝' 밟으면 한미 금리역전 차 0.75%포인트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26일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 주최로 열린 연례 경제정책 심포지엄에서 한 말이다.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에서 두 달 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밟은 미 연준의 수장이 다시 한번 물가안정에 방점을 찍으면서 공격적인 긴축의 고삐를 놓지 않겠다는 신호를 시장에 던진 셈이다.
이에 따라 지난 25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며 연 2.50%까지 인상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도 올해 두 번 남은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3.0%까지 올릴 수 있다는 시장의 전망이 현실화됐다. 앞서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틀 전 금통위 직후"국내 물가가 정점에 이르렀더라도 당분간 5%대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며"올해 연말 기준금리 수준이 연 2.75~3.0%라는 시장의 기대는 합리적"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미국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6월 9.1%에서 7월 8.5%로 다소 둔화됐지만, 인플레이션 정점이 지났다고 보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판단이 지배적이다.
앞서 지난 17일 공개된 미 FOMC 7월 정례회의 의사록을 보더라도, 회의 참석자들은"물가상승률이 계속 목표치를 훨씬 넘고 있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진정되고 있다는 증거가 아직 거의 없다"며 더욱 강력한 긴축을 예고하기도 했다.같은 물건을 외국에서 사오더라도 원화가치가 하락해 수입 물가 자체가 높아질 수밖에 없었고, 이는 소비자물가 상승세로 고스란히 전이됐다는 얘기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6월까지 고공행진을 이어갔던 국제 유가와 식량 가격이 최근 진정 기미를 보이고 있지만, 급격한 원달러 환율 상승은 우리 경제에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게 통화당국의 판단이다.미 FOMC가 9월에도 '자이언트 스텝'을 밟게 될 경우, 한미 금리 역전 폭은 0.75%포인트로 벌어지게 된다.앞서 이 총재는"당분간 물가 중심으로 통화정책을 운용하고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한다"고 강조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사상 첫 네 번 연속 금리 인상...물가 전망치는 대폭 ↑사상 첫 네 번 연속 금리 인상…물가 전망치 대폭 ↑ / 한국은행, 사상 첫 네 차례 연속 기준금리 인상 / 10월·11월 금통위에서도 기준금리 인상 유력 / 올해 성장률 전망치 2.7%→2.6%로 하향 조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금리 인상에 경제성장률 하락...추가 이자 부담 27조 원한은, 물가 상승 압력에 이번에도 기준금리 인상 / 소비·투자 위축으로 ’경기 침체’ 우려 확산 /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2.7% → 2.6% 하향 조정 / 1년간 기준금리 2%포인트 올라…대출이자 눈덩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농심’이 무너뜨린 뚝…하반기 라면·제과·제빵 가격 줄인상 되나?신라면·새우깡 등 다음달 15일 인상하는 농심삼양·오뚜기 등 가격 인상 도미노 우려 커져9년 버틴 오리온, 하반기엔 가격 조정 가능성↑서울우유 신호탄으로 유업계도 인상 임박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방미 의원단 '한국에 뒤통수' 항의에 美 '우려와 분노 잘 알아'정진석 부의장 등 여야 의원단 美 국무부 방문 / ’인플레 감축법’에 韓 전기차 차별 문제 항의 / '의회 결정 행정부 간섭 못 해…당장 해법 없어' / '방미 정의선 현대차 회장 워싱턴 방문 전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