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제조현장 빠르게 늙어가청년근로자 비율 29%→14%로
제조업은 한국 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약 28%에 달할 정도로 핵심 산업이다. 하지만 제조업 내 고령 근로자 비중이 미국·일본보다 훨씬 빠르게 늘고 있어서 노동생산성 저하와 중장기적 노동력 부족에 따른 성장 동력 약화가 우려된다. 한국경제인협회가 국내 제조업 근로자 연령대별 비중을 분석한 결과 청년 근로자 비중은 2001년 29.7%에서 2021년 14.8%로 14.9%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고령 근로자 비중은 11%에서 31.9%로 무려 20.9%포인트나 껑충 뛴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사회 전반적으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제조 현장에서는 이 같은 현상이 더욱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한국의 제조업은 미국·일본과 비교했을 때도 고령화 진행 속도가 유독 빨랐다. 국제 비교가 가능한 한경협의 2011~2021년 조사를 보면 우리나라 제조업 근로자 평균 연령은 이 기간에 3.8세 올라갔다. 같은 기간 일본은 1.5세 상승했고, 미국은 불과 0.1세 상승에 그쳤다. 미국은 물론이고 초고령사회인 일본에 비해서도 한국 고령층 비중이 급속히 늘어난 것이다. 한경협은 지난해 한국 제조업 근로자 평균 연령이 43.4세로 일본을 추월했으며 2025년에는 44.6세로 미국의 근로자 평균 연령마저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같은 생산 현장의 고령화로 인해 인건비 상승과 노동생산성 저하가 나타나게 되고 결과적으로 한국의 제조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것으로 우려됐다. 2021년 고용노동부 '사업체 노동력 조사 부가 조사'에 따르면 근로자 100인 이상 기업 중 호봉급을 시행 중인 기업 비중이 57.6%에 달했다. 반면 직능급과 직무급을 시행 중인 기업은 각각 29%, 37.6%에 그쳤다. 호봉급은 노동생산성·업무 효율과 상관없이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이 자동 상승하기 때문에 근로자 고령화는 기업의 인건비 부담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또 다른 다른 문제는 인건비 등 노동비용 증가 속도가 노동생산성 향상 속도보다 빠르다는 점이다. 한경협이 2011년과 2020년 제조업 노동비용총액과 노동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노동비용총액 약 489만원에서 약 604만원으로 23.5% 증가했다. 같은 기간 노동생산성 지표는 99.5에서 115.6으로 16.2% 증가하는 데 그쳤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日인구 10%는 80세 이상 노인...65~69세 절반은 아직 현업일본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줄어든 것은 비교 가능한 통계가 있는 1950년 이후 73년 만에 처음이다. 80세 이상 인구는 27만 명 증가한 1259만 명(인구의 10.1%)으로, 일본 인구 10명 중 1명이 80세 이상으로 나타났다. 일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는 1971~1974년에 태어난 제2차 베이비붐 세대가 65세 이상이 되는 2040년에는 고령자 인구가 3928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34.8%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日 100세 할머니 성폭행 사망에 '발칵'…범인은 70대 노인일본 홋카이도의 한 요양원에서 100세를 넘긴 고령의 여성...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쉽지 않았던 아시안게임, 이강인의 어깨가 무겁다[아시안게임] 24세 이하 남자축구 대표팀, 사상 최초 3연패 도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日 100세 할머니 성폭행 사망에 '발칵'…범인은 70대 노인일본 홋카이도의 한 요양원에서 100세를 넘긴 고령의 여성...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