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에 따르면 전날 9개국 정상과 릴레이 양자 정상회담을 가진 윤 대통령은 이날 나나 아도 단콰 아쿠포아도 가나 대통령과 오찬 겸 정상회담을 가졌다. 윤 대통령은 아쿠포아도 대통령과 만나 '가나는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 중점 협력국이자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전략적 협력국으로 서아프리카 내에서 핵심적인 협력 파트너'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1961년 아프리카 국가 중 처음 수교한 코트디부아르가 우리나라의 서아프리카 핵심 협력국으로서 실질적 협력을 강화해온 관계임을 부각하면서 아프리카에 국산 벼 품종을 보급하는 ODA 사업 ‘K-라이스벨트’에 코트디부아르가 참여한 점을 환영하고, 식량안보 증진을 위해 구체적 협력 방안을 모색하자고 제의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전날 9개국 정상과 릴레이 양자 정상회담을 가진 윤 대통령은 이날 나나 아도 단콰 아쿠포아도 가나 대통령과 오찬 겸 정상회담을 가졌다. 김건희 여사도 함께 했다. 윤 대통령은 아쿠포아도 대통령과 만나 “가나는 한국의 공적개발원조 중점 협력국이자 대외경제협력기금 전략적 협력국으로 서아프리카 내에서 핵심적인 협력 파트너”라고 말했다.이어, 가나가 2022∼2023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으로서 평화 안보 분야에서도 중요한 파트너라는 점을 강조한 윤 대통령은 2024년 서울에서 개최되는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에 참석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아쿠포아도 대통령은 “한국의 여러 기업이 자동차, 수산업 등의 분야에 진출해 가나 경제발전에 기여하고 있다”며 “양국 간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해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또 “북한의 불법적인 핵과 미사일 개발을 규탄한다”며 “안보 문제와 관련해 한국을 적극적으로 지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오전에는 티에코모 멜리에 코네 코트디부아르 부통령을 접견했다. 윤 대통령은 1961년 아프리카 국가 중 처음 수교한 코트디부아르가 우리나라의 서아프리카 핵심 협력국으로서 실질적 협력을 강화해온 관계임을 부각하면서 아프리카에 국산 벼 품종을 보급하는 ODA 사업 ‘K-라이스벨트’에 코트디부아르가 참여한 점을 환영하고, 식량안보 증진을 위해 구체적 협력 방안을 모색하자고 제의했다. 코네 부통령은 한국이 국립암센터 건설을 지원해준 데 대해 사의를 표하고, 협력 확대를 기대했다. 그는 또 “코트디부아르 대통령의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서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뉴욕 도착한 尹, 릴레이 양자회담 돌입…총 40여개국 만날 듯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라닐 위크라마싱하 스리랑카 대통령과 취임 후 첫 정상회담을 열고 부산 엑스포를 지지해달라고 요청하는 한편, 양국 관계 발전에 관한 의견을 교환했다. 윤 대통령은 '한국의 개발 협력 중점 협력국인 스리랑카와 개발 협력, 노동, 기후변화 대응, 교역·투자 등의 분야에서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목표로 협력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인사했다. 이에 위크라마싱하 대통령은 '한국에서 훈련받고 온 스리랑카인들이 고숙련 고급 노동 인력으로 고국에서 일하고 있다'며 '앞으로 한국과 ‘교역·투자 협력 협정’을 추진해 더욱 활발한 양국 간 교역과 투자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뉴욕 간 尹, 양자회담 최소 30개…첫 일정은 부산 엑스포 세일즈이날부터 22일까지 뉴욕에 머물 예정인 윤 대통령은 최소 30개 국가와의 양자 회담이나 오ㆍ만찬 일정을 소화하고 부산 세일즈를 위한 총력외교를 펼칠 예정이다. 출국 전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추가로 양자 회담 개최를 여러 상대국과 조율 중으로, 최대 얼마까지 양자 회담 일정이 늘어날지 가늠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양자 정상회담과 유엔 총회 참석 일정 외엔 뉴욕대에서 열리는 디지털 비전 포럼에 참석해 디지털 규범 마련을 위한 국제사회의 연대를 다시 한번 강조할 예정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사명감으로 이끈다' 방문진료 3년…의원 참여율 1.3%뿐고령화 시대를 맞아 방문 진료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정부는 거동 불편자를 대상으로 의사·한의사가 가정을 방문하는 관련 시범사업(‘일차 의료 방문 진료 수가 시범사업’)을 3년째 펼치고 있다. 국내 의원급 의료기관이 총 4만9507곳(의원 3만4958곳·한의원 1만4549곳)인 걸 따졌을 때 방문 진료 시범사업에 참여한 의료기관은 전체 1.3%(638곳)인 셈이다. 경기도 파주에서 재택의료센터를 운영하는 송대훈 연세송내과 원장은 '개원의 대부분이 1인 개원 형태인데, 방문 진료를 하려면 외래 시간을 비우거나 근무시간 외 시간을 투자해야 해 방문 진료를 쉽게 할 수 없다'며 '개원의들이 방문 진료에 대한 경험이나 교육이 없어 생소한 분야로 생각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尹, '부산 엑스포' 외교 총력전...9개국 릴레이 양자회담[앵커]윤석열 대통령이 유엔총회가 열리는 미국 뉴욕에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