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TK) 지역에서 다시 긍정 평가가 부정 평가를 앞지르면서 전국에서 유일하게 긍정이 많은 곳으로 나타났다. 한국갤럽은 지난 24~26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3명을 대상으로 전화 면접 조사를 진행한 결과 윤 대통령이 직무 수행을 ‘잘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33%, ‘잘못하고 있다’는 사람이 58%였다고 27일 밝혔다. 지난 조사에선 TK에서도 부정 평가가 더 많았는데, 이번 조사에서 다시 긍정 평가가 증가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10월 넷째 주 33%를 기록했다. 대구·경북 지역에서 다시 긍정 평가가 부정 평가를 앞지르면서 전국에서 유일하게 긍정이 많은 곳으로 나타났다.
한국갤럽은 지난 24~26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3명을 대상으로 전화 면접 조사를 진행한 결과 윤 대통령이 직무 수행을 ‘잘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33%, ‘잘못하고 있다’는 사람이 58%였다고 27일 밝혔다. 긍정 평가는 직전 조사인 10월 셋째 주보다 3%포인트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TK에서만 지지율이 49%로 부정 평가 43%를 웃돌았다. 지난 조사에선 TK에서도 부정 평가가 더 많았는데, 이번 조사에서 다시 긍정 평가가 증가했다. 다른 지역은 모두 부정 평가가 긍정보다 많았다. 대통령의 직무 수행을 긍정 평가한 응답자는 ‘외교’를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긍정 평가의 이유로 외교를 꼽은 비율은 직전 조사보다 18%포인트 급등했다. 한국갤럽은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 순방 중 전해진 건설·에너지·방산 협력 확대와 기업 투자 유치 등의 소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정당 지지도는 국민의힘이 35%, 더불어민주당은 32%였다. 정의당은 4%를 기록했다.
이번 여론조사의 오차 범위는 95% 신뢰 수준에서 ±3%포인트다. 조사는 이동통신 3사가 제공한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무작위 추출한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응답률은 13.6%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尹 지지율 3%p 오른 33%, TK 다시 ‘긍정 | 부정’으로[한국갤럽]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긍정 평가)이 전주보다 3%포인트 올라 33%를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 대통령 지지율 33%로 반등…중동 순방 영향 [갤럽]긍정평가 3%p 올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 대통령 국정 지지율 33%, PK-70대 이상 결집[한국갤럽] 순방효과에 지지율 회복... 부정평가 58%, 국힘 35%-민주 32%-무당층 28%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00조 오일머니 잡고 현안 목소리 낸 韓…힘 실리는 중동 외교최근 중동을 뒤흔든 이스라엘-하마스 전쟁과 관련해서는 '민간인을 보호하라'는 목소리를 내는 등 다방면에서 한국의 존재감을 끌어올렸다는 평가다. 앞서 지난해 11월 사우디와 맺은 약 290억 달러의 MOU, 지난 1월 아랍에미리트(UAE)와 약 300억 달러 투자 약속까지 합치면 사우디·카타르·UAE 등 중동 지역 핵심 3개국과의 경제 협력 규모는 총 792억 달러, 한화 107조원에 달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주 31%·국힘 30%, 지지율 역전…尹 지지율 3%p 하락 32% [NBS]윤석열 대통령 지지율은 직전 조사보다 3%포인트 하락한 32%를 기록했다. 여론조사업체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23~25일 만 18세 이상 1006명을 대상으로 전화 면접으로 전국지표조사(NBS)를 진행한 결과 민주당 지지율이 31%, 국민의힘은 30%로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내년 국회의원 선거와 관련해서도 ‘야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응답이 47%, ‘정부·여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응답 40%로 7%포인트 격차가 있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포브스] [2022 한국인이 사랑한 모바일앱 200] 앱 순위로 전망하는 2023 뉴 트렌드30위권은 로지D1(21위, 신규), 구글 지도(22위, 신규), 카카오 T(23위), 배달의민족(24위), 티빙(25위, 신규), 디시인사이드(26위, 신규), 여기어때(27위, 신규), 네이버 파파고(28위), 그립(29위, 신규), 웨이브(30위) 순이다. 넷플릭스(부문 1위), 쿠팡플레이(부문 2위), 티빙(부문 4위), 웨이브(부문 5위), 디즈니플러스(부문 6위), iQIYI(부문 7위), 유튜브키즈(부문 8위), 아프리카TV(부문 9위), KBS my K(부문 10위), 하쿠나 라이브(부문 11위), 삼성TV 플러스(부문 15위), 왓챠(부문 16위), U+모바일tv(부문 18위) 순으로 도열해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